[단독] 김영한 신임 민정수석, 부장검사 시절 경전철 예정지 사들여 10억대 차익 의혹

입력 2014-06-24 03:18
김영한 신임 청와대 민정수석이 현직 부장검사 시절 대구의 경전철 역사 예정지 땅과 건물을 사들여 10억원대 시세차익을 얻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국민일보가 23일 고위공직자재산공개 현황을 분석한 결과, 김 수석은 2009년 12월 대구 남산동 2121-3번지 땅 355㎡와 해당 부지에 들어선 4층짜리 건물(822㎡)을 대구도시철도공사에 팔았다. 당시 대구도시철도공사는 경전철 3호선(모노레일) 계획이 확정돼 공사에 돌입한 상태로, 김 수석 땅과 부지를 17억2000만원 상당에 매입했다. 부지와 건물 공시지가(9억원 상당)보다 8억원가량 비싼 금액이었다. 김 수석은 이 거래로 직전 해보다 재산이 8억1500만원 증가해 재산공개 대상 고위 공직자 중 자산증가율 7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는 대구지검 근무 당시인 1999년 6월 박모(73)씨로부터 해당 부동산을 6억5000만원에 사들였다. 건물 입주자들의 전세보증금 1억5000만원 정도를 안고 구입해 실매입가는 5억원이었다고 한다. 매입한 건물에는 당구장과 학원 등이 입주해 있었다. 그는 4개월 뒤 토지는 본인 명의로, 건물은 부인에게 증여했다. 현재 해당 부지에는 경전철 3호선 남산역사가 들어서 있다.

국토교통부(당시 교통부)는 1991년 대구 지하철 1호선을 착공하면서 2, 3호선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1997년 대구 도시기본계획에는 2010년까지 칠곡∼범물 구간에 지하철 3호선을 세운다는 방안도 포함됐다. 이 구간에는 김 수석 명의의 토지에 세워진 남산역 건설 계획도 포함돼 있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 부채 증가로 지하철 설립 계획은 연기됐고, 2008년 5월 뒤늦게 경전철 설립계획이 확정돼 공사가 시작됐다.

김 수석은 “퇴직 후 부양 부담도 덜고 모친이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임대수익을 얻기 위해 상가건물을 샀다”며 “나중에 팔려고 싼값에 내놨는데 매매도 잘 안 되다가 뒤늦게 (대구시에) 수용이 됐다”고 해명했다. 그는 “구입 당시 노선 이런 건 아무 것도 (확정된 게) 없었다. (역사 예정지는) 전혀 고려사항이 아니었다. 투기를 시내에 하는 사람이 어디 있느냐”며 의혹을 부인했다.

전웅빈 이경원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