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3특의 중심지’로 국가균형성장의 미래를 주도하겠다는 비전을 공식화했다.
‘3특’은 ‘5극3특 국가균형성장전략’에서 지역 맞춤형 성장이 가능하도록 특례를 적용하는 지역을 의미한다.
14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날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회 출범식에서 ‘자치권 강화와 특례 확대, 3특 추진 전략’을 발표하며 전북특별자치도의 발전 방향과 중장기 전략을 제시했다.
출범식에는 우원식 국회의장, 김병기 원내대표, 김태년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회 위원장,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 김정관 산업통상부장관 등 당·정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
전북도는 발표를 통해 ‘3특’ 전략의 중심지로서 실질적 자치 실현과 국가균형성장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구상을 강조했다.
전북은 ‘전북특별법’을 근거로 총 333개의 특례를 확보했으며, 새만금고용특구, 농생명산업지구 등 4개 특구를 이미 지정한 상태다.
특히 고창 ‘사시사철 김치특화산업지구’는 연중 공급 가능한 절임 배추 단지 조성과 기술이전 협약(MOU) 등을 통해 지역 농업과 소득을 연계한 대표 모델로 꼽힌다.
전북도는 현재 재정, 민생, 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전북특별법’ 일부 개정을 추진 중이다. 국가보조금 차등 보조율 적용, 법인세 감면 등 재정특례를 입법화해 5대 핵심산업의 육성과 투자유치 기반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전북은 타 특별자치시도와 협력 체계를 구축, 국무조정실 및 부처 협의체계를 통해 추가 특례 발굴과 제도화를 병행하고 있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지방이 스스로 성장전략을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는 힘을 갖는 것이 진정한 균형발전”이라며 “전북자치도가 기업이 찾아올 수 있는 정책의 테스트베드가 돼 대한민국 균형성장의 표준모델로 자리잡도록 계속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전주=최창환 기자 gwi122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