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에 첫 철도가 들어선다.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이후 4년 만이다. 국토교통부가 12일 ‘새만금항 인입철도 건설사업’ 기본계획을 고시하면서 총사업비 1조5000억원 규모의 국책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새만금항 인입철도 사업은 총 1조5859억원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로, 군산 대야역에서 새만금신항까지 총 48.3㎞ 구간을 잇는 여객·화물 겸용 단선 전철 건설이 핵심이다.
대야역에서 옥구까지 기존 선로 19km를 전철화하고, 옥구에서 새만금신항까지 29.3㎞ 구간을 새로 개설한다. 옥구, 새만금국제공항, 새만금(장래), 수변도시, 신항만 철송장 등 5개 정거장이 신설되며 대야역은 전철화 개량도 병행된다.
이 사업은 2033년 하반기 개통을 목표로 추진된다. 예비타당성조사 당시 1조2462억원이었던 사업비는 물가 상승과 설계 변경으로 3397억원이 증액됐다.
철도가 완공되면 조 단위의 경제효과가 기대된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생산유발효과 2조2152억원, 고용유발 1만4788명, 부가가치유발 7582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익산에서 새만금수변도시까지 전동열차로 36분대에 이동할 수 있어 새만금권 입주기업과 주민의 교통 편의가 개선되고 고군산군도 등 인근 관광지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화물 분야에서는 새만금 신항만에서 대야, 광양항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철도 물류 노선도 생길 예정이다.
새만금항 인입철도는 새만금을 관통하는 최초의 철도이자 새만금 개발의 교통 중심축으로 평가된다. 11월 개통 예정인 새만금~전주 고속도로와 연계되면 항만·도로·철도가 연결된 3대 복합물류체계가 완성된다. 영호남내륙선, 국가식품클러스터 인입선, 서해안철도 등과도 연계돼 전국의 물류 네트워크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새만금항 인입철도는 물류의 효율성뿐만 아니라 새만금과 인근 도시를 잇는 사업이다“며 “새만금 권역 내 이동 편의를 높이는 생활 철도망으로서의 의미도 크다”고 설명했다.
전북도는 내년부터 기본 및 실시설계에 착수해 2033년까지 단계적으로 완공할 방침이다. 예비타당성조사 결과를 보면 2050년 기준 하루 1만3203명의 여객과 컨테이너 2449t, 일반화물 270t을 수송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객열차는 하루 왕복 40회, 화물열차는 왕복 6회 운행될 예정이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새만금은 신산업 중심의 새로운 문명을 여는 첨단 도시가 될 것”이라며 “새만금항 인입철도는 단순한 철도건설이 아니라 전북의 미래 성장 축을 구축하는 국가적 프로젝트”라고 강조했다. 이어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력하고, 지역기업과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전주=최창환 기자 gwi122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