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음식물 취식 민원이 최근 5년 동안 약 4200건 들어온 것으로 확인됐다.
12일 서울시의회 윤영희 국민의힘 의원이 서울교통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하철 내 음식물 취식 관련 민원은 2021년 1009건, 2022년 620건, 2023년 833건, 2024년 907건, 2025년 9월까지 828건 등 4197건이었다.
음식의 종류는 김밥, 김치, 순대 등 냄새가 강한 음식부터 뜨거운 고구마, 컵라면, 감자튀김, 만두, 오징어, 캔맥주, 도시락 등 다양했다.
지하철 주류 섭취 관련 사례도 다수 포함됐다. 올해 7~9월 접수된 민원에는 열차 내에서 맥주, 소주, 막걸리 등을 마시는 행위에 대해 ‘냄새가 심해 토할 것 같다’ ‘아이와 함께 타고 있는데 너무 괴롭다’는 등 신체적·정서적 고통을 호소하는 내용이 확인됐다.
민원 중에는 ‘안내방송이 나와도 계속 음식을 섭취하는데 아무런 제지도 없다’는 내용도 있었다. ‘취식자가 이어폰을 끼고 있어 방송이 무용지물이다’ ‘신고해도 이미 하차해 제재가 어렵다’는 내용도 반복됐다.
지하철과 달리 서울 시내버스는 음식물을 취식할 수 없다. 지난 2018년 음식물 및 음료 섭취를 금지하는 조례가 개정되면서다.
윤 의원은 “과거 버스 음식물 취식 금지 조례도 처음엔 논란이 있었지만 지금은 자연스럽게 정착됐다”며 “지하철 역시 시민 여론을 폭넓게 수렴해 음식물·주류 취식 금지를 제도적으로 검토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