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가족돌봄휴가가 주무부처인 고용노동부 산하 기관에서도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태선 의원이 노동부에서 제출받은 산하 공공기관 가족돌봄휴가 사용 현황에 따르면 직업전시체험관인 한국잡월드의 경우 2022년과 지난해에 이어 올해 6월까지도 가족돌봄휴가 사용률이 0%였다.
2020년 도입된 가족돌봄휴가는 근로자가 부모, 조부모, 배우자, 자녀 등 가족에게 질병이나 사고가 발생하거나, 양육으로 인해 긴급하게 돌봄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휴가로 1년에 최장 10일까지 일 단위로 나눠 쓸 수 있다.
노동부 산하 또 다른 기타 공공기관인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도 사용률이 2022년과 올해 상반기 휴가 사용률이 0%였다. 지난해에는 4.7%에 그쳤다.
준정부기관인 한국고용정보원도 2022년 0.4%, 지난해 3%, 올해 1∼6월에는 0.8%의 직원들만 가족돌봄휴가를 썼다. 건설근로자공제회 역시 사용률이 2022년 2%, 지난해 3%, 올해 1∼6월 1%에 그치는 등 12개 산하기관 중 4곳의 사용률이 한 자릿수를 기록했다.
김 의원은 “일·가정 양립에 앞장서야 하는 고용노동부 산하 공공기관에서도 법이 정한 가족돌봄휴가가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며 “윤석열 정부는 말로만 저출생 극복을 외칠 것이 아니라 공공기관에서부터 자유로운 가족돌봄휴가 사용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