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6일 “시민언론을 자처하는 인터넷 매체 민들레의 정체가 무엇이고, 이들이 희생자를 이용해 무엇을 이루고자 하는지 엄정하게 법적·도의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민들레’가 유족 동의 없이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을 공개한 것을 두고 연일 비판을 이어가고 있다.
정 위원장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문제의 매체는 언론을 자처했으나 언론의 책임감은 조금도 보여주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민들레는 지난 13일 밤 홈페이지에 “희생자들을 기리는 데 호명할 이름조차 없이 단지 ‘158’이라는 숫자만 존재한다는 것은 추모 대상이 완전히 추상화됐다는 의미”라며 희생자 155명의 이름을 공개했다.
정 위원장은 “이 매체는 유튜브 채널 ‘더탐사’와 협업을 거쳤다면서 ‘이름 공개를 원치 않는 유족께서는 이메일로 연락을 주시면 반영토록 하겠다’고 했다”며 “유족 뜻을 확인하고 공개하는 기본 중의 기본도 지키지 않고 ‘일단 공개할테니 원치 않으면 사후에 연락하라’는 태도를 취한 것”이라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대형 참사 발생 시 사망자 명단이 공개돼 왔다는 민들레 측 주장에 대해 “전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정 위원장은 세월호 참사 사례를 들며 “희생자 신원 확인을 위해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고 유가족들도 동의했으며 취재진 사이에서도 꼭 필요한 범위 이상으로 희생자들의 이름과 신원이 퍼지지 않도록 주의하는 암묵적인 합의가 이뤄지고 지켜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태원 참사는 발생 후 비교적 신속하게 희생자들의 신원이 밝혀져 상황이 전혀 다르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또 워싱턴포스트 등 일부 외신도 희생자 사연을 소개했다는 지적에 대해선 “책임 있는 언론이 정상적 취재 과정을 거쳐 취재원 동의를 받아 사연을 소개하는 것과 출처 모를 명단을 동의도 없이 공개하는 것은 근본적 차이가 있다”며 “전자는 취재고, 후자는 폭력이요 선동”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랑하는 가족을 잃고 극심한 고통 속에 있는 분들을 이용했다는 점에서 언론과 정치의 탈을 쓴 가장 비열하고 반인권적인 폭력”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들레의 정치적 편향성 의혹도 제기했다.
정 위원장은 “이들이 공개한 준비위원 명단에는 김민웅 촛불행동 대표와 곽노현 전 서울시교육감 등이, 칼럼진으로는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 등이 이름을 올렸다”며 “모두 정치적 편향성을 강하게 보여온 인물들”이라고 지적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