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이 압수수색 직전 버린 휴대전화에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과 정진상 더불어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 등 이재명 대표의 최측근들이 모인 텔레그램 대화방이 있었다는 증언이 나왔다.
유 전 본부장은 지난해 9월 29일 자신의 주거지 압수수색 당시 이 사실을 미리 알고 있던 정 실장이 휴대전화를 버리라고 지시한 이유가 휴대전화에 있던 일명 ‘정무방’ 때문일 것이라고 주변에 전했다고 25일 SBS가 보도했다.
앞서 유 전 본부장은 압수수색 직전 새로 바꾼 지 1주일밖에 안 됐던 휴대전화를 창밖으로 버린 것이 정 실장의 지시를 받고 한 일이라고 진술한 바 있다.
보도에 따르면 유 전 본부장은 자신과 정 실장, 김 부원장을 비롯해 이재명 대표 핵심 정무 라인이 들어가 있는 텔레그램 단체 대화방이 있었는데, 정 실장은 이것이 수사기관에 노출될 걸 우려했을 것이라는 취지로 말했다.
이 대표가 과거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재판을 받을 당시 이 대표의 변호인단도 이 대화방에 합류해 관련 논의를 진행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최측근끼리 민감한 대화가 오갔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버려진 전화기는 그러나 1주일 뒤에야 경찰에 발견됐다. 텔레그램 대화방의 경우 상대방이 방을 없애면 시일이 지났을 경우 포렌식으로도 대화 내용을 복구하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정무방’의 실체 파악 가능성은 미지수다.
경찰이 확보한 휴대전화를 넘겨받아 통화기록과 텔레그램 대화 내용 등을 분석해온 검찰은 유 전 본부장 등을 상대로 당시 정무방에서 어떤 대화가 오갔는지 추가로 확인할 방침이다.
아울러 검찰은 정 실장과 김 부원장이 대장동 일당에게 술자리 접대를 받은 물증을 확보하고 수사 중이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강백신 부장검사)는 남욱 변호사가 자주 다니던 서울 강남의 한 유흥주점 종업원과 주고받은 문자 메시지 내역을 복구했다. 여기에는 2013년쯤부터 해당 유흥주점에서 유 전 본부장이 정 실장과 김 부원장에게 술 접대를 하고, 비용을 남 변호사가 사후 계산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해당 종업원도 최근 참고인으로 불러 대화 내용을 확인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경찰은 이날 유 전 본부장과 배우자 박모씨에 대해 신변보호 조치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26일부터 유 전 본부장과 박씨의 주거지 순찰을 강화하고,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위치추적 장치 대여와 임시숙소 제공도 할 계획이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