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재오 “이명박 사면 제외는 누가 봐도 정치보복”

입력 2021-12-25 12:47 수정 2021-12-25 13:11
친이계 좌장 이재오 상임고문 전화인터뷰
“박근혜 사면, 늦은 감 있지만 다행”
“수감 대통령 2명인데, 한 사람만 사면은 정치보복”
“朴만 사면은 대선 의식해 보수 분열·갈등 술책”
“MB 건강 안 좋아…오른 다리 아파 거동 불편”
“文사면은 기대 안 해…앞으론 사면 얘기 안 꺼낼 것”

‘친이(친이명박)계’ 좌장인 이재오 국민의힘 상임고문. 뉴시스

‘친이(친이명박)계’ 좌장인 이재오 국민의힘 상임고문은 25일 문재인 대통령이 박근혜 전 대통령을 특별사면한 데 대해 “늦은 감은 있지만 다행”이라고 밝혔다.

이 고문은 그러나 이명박(MB) 전 대통령을 특별사면 대상에서 제외한 것과 관련해선 “사면 대상을 정략적으로 선택했다”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말한 통합과 화합의 뜻과 어긋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 고문은 이번 사면을 ‘실패한 사면’이라고 주장했다.

이 고문은 “수감된 전직 대통령이 2명이 있었는데, 굳이 한 사람만 사면시킨 것은 누가 봐도 문재인정권의 정치보복”이라면서 “한 사람하고는 통합하고 화합하고, 다른 한 사람하고는 통합하지 않겠다는 뜻이냐”고 반문했다.

이 고문은 이 전 대통령의 건강 상태가 매우 좋지 않다고 전했다.

그는 “이 전 대통령의 오른 다리가 매우 좋지 않다. 거동이 힘들 정도”라면서 “지병인 폐질환과 혈압, 당뇨도 있다. 이 전 대통령이 내년이면 한국 나이로 83세가 되는데, 어디 좋을 데가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도 이 고문은 “이 전 대통령은 담담하다”면서 “이 전 대통령이 ‘잡아넣을 때도 정치보복이었는데. 그 사람들 마음이 어디 가겠느냐’고 하더라”고 전했다.

이 고문은 “문재인정권 하에서는 사면을 기대하지는 않는다”면서 “앞으로 친이계는 정권이 바뀌더라도 이 전 대통령의 사면에 대한 얘기를 일체 거론하지 않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는 25일 이 고문과 전화통화를 가졌다. 다음은 일문일답.

-이번 사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늦은 감은 있지만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몸이 안 좋은 상태에서 오래 감옥에 있어서 걱정이 됐는데. 지금이라도 나와서 매우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문 대통령이 사면대상을 정략적으로 선택하면서 실패한 사면이 됐다. 국민의 갈등만 더욱 부추기는 꼴이 됐다.

이 사람들(문재인정부)이 자기편인 한명숙 전 국무총리와 이석기 전 통합진보당 의원 등을 사면시키기 위해 억지로 박 전 대통령을 끼워 넣은 것 아닌가.

사면을 위한 사면이고, 옹졸한 사면이다. 정치적 효과는 전혀 없는 사면이다.”

-이번 사면이 왜 정략적인 사면이라고 생각하는가.

“수감된 전직 대통령이 2명이 있는데, 굳이 한 사람만 고른 것은 ‘MB에 대한 정치보복의 끈이 풀어지지 않았다’는 것 외에는 달리 해석할 방법이 없다.

문 대통령은 이번 사면에 대해 ‘통합과 화합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는데, 한 사람하고는 통합하고, 다른 한 사람하고는 통합하지 않겠다는 뜻이냐.

누가 봐도 정치보복이다. 이것으로밖에 해석이 안 된다.”

서울동부구치소 수감 도중 기저질환 치료를 위해 50여일 간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지난 2월 10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퇴원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사면과 관련해 대선을 앞두고 보수진영 갈라치기 의도가 있다고 보이는가.

“속셈이 뻔한 거 아닌가. 대선을 의식해서 보수진영의 분열과 갈등을 증폭시키기 위한 사면이다. 보수진영의 통합을 막기 위한 술책으로 이번 사면 카드를 쓴 것이다.

그렇지 않고서는 MB만 사면에서 제외할 이유가 없는 것 아닌가.

이렇게 비교하는 것도 그런데, 형량이나 나이로 보나, 박 전 대통령보다 MB가 더 사면이 필요하다.

게다가 MB에게 검찰이 건 혐의도 국정농단 같은 게 아니라 개인적 의혹 아닌가.(참고로 이 전 대통령은 징역 17년을 선고받았고, 박 전 대통령은 22년을 선고받았다.)

-문재인정부가 이 전 대통령에게 정치보복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그것 외에는 달리 설명이 안 된다. 문재인정부의 정치보복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한 정치보복을 아직도 MB에게 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의 죽음은 MB와 전혀 관련이 없는 것이다. 노 전 대통령은 가족 비리를 감당할 수 없어 극단적 선택을 한 것이 아닌가.

MB가 (노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를 지시했나, 뭘 했나.

노 전 대통령 수사 당시 ‘전직 대통령으로서 예우를 다하라. 조사할 일이 있으면 대면조사보다는 가급적 서면조사를 하라’는 것이 MB의 입장이었다.

MB는 대통령 재임 당시 검찰에 대해 관여를 하지 않았다. 친형인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이 검찰 수사로 유죄를 받은 게 대표적 예 아닌가.

(2019년 10월 대검찰청) 국정감사 때 당시 검찰총장이었던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검찰의 정치적 중립과 관련해 ‘이명박정부가 상당히 쿨했다’고 말하지 않았나.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사면에 대해선 어떤 입장을 취할 것인가.

“문재인정권 하에서는 사면을 기대하지는 않는다. 국민들의 화합과 통합의 기대를 저버리고 사람을 갈라치기해서 선별 사면하는 것은 정치적 도의에 맞지 않는다.

사면에 대해 문재인정부와는 어떤 대화를 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대선이 끝나면 다음 정부가 들어설 텐데, 그때에도 이 전 대통령 사면에 대한 어떠한 얘기를 공개적으로 하지 않을 것이다.”

-현 정부로부터 사면에 대한 어떤 논의나 연락을 받은 게 있는가.

“전혀 없었다. (이 전 대통령) 사면이 안 될 것 같다는 연락을 받은 적도 없고, 박 전 대통령이 사면될 것이라는 연락을 받은 적도 없다.

모든 걸 언론을 보고 알았다.”

-박근혜 전 대통령과는 동지와 적을 오갔는데, 사면에 대해 어떤 느낌을 받았는가.

“정치적으로 의견이 다른 것은 해소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건강 문제는 다른 것이다. 오래 감옥에 있어서 걱정이 많이 됐다.

늦었지만 사면 된 것은 너무 다행이다. 건강 잘 챙기시길 기원한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에게 한마디를 전한다면.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살아있는 문재인정권과 싸울 때 누가 도와줬나. 홀로 저항해 국민들이 열광적으로 지지해 준 것 아닌가.

그때처럼 누구의 도움을 기대지 말고, 혼자 대선을 치른다는 생각을 해야 한다. ‘이 눈치, 저 눈치’ 보지 말라는 것이다.

가족 문제도 마찬가지다. 자기가 생각하는 정의와 공정, 상식에 어긋난다고 느껴질 경우 ‘어긋난다’고 얘기해야 한다. 그게 초심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강보현 기자 bob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