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방송인 김어준씨를 옹호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외눈’ 표현이 여권 내에서 장애 비하 논란으로 확산하고 있다. 범여권인 정의당은 물론 더불어민주당 내에서도 추 전 장관을 비판하자 다시 추 전 장관이 “장애인 비하 의미가 없는 단어”라며 맞서고, 또 이를 재반박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발단은 추 전 장관이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을 옹호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추 전 장관은 지난 23일 “자유로운 편집권을 누리지 못하고 외눈으로 보도하는 언론들이 시민 외에 눈치 볼 필요가 없이 양눈으로 보도하는 뉴스공장을 타박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장혜영 정의당 의원은 외눈 표현이 ‘장애 혐오 발언’이라고 지적하며 사과를 요구했고,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누구든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다른 사람에 대해 함부로 차별적이거나 혐오적 언동을 해서는 안된다”고 비판했다.
여권 내에서도 비판이 나왔지만, 추 전 장관은 다시 26일 페이스북을 통해 “장 의원과 이 의원은 문맥을 오독해 제 뜻을 왜곡한 것이다.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불쾌한 심경을 드러냈다. 그는 국어사전에서 외눈의 정의를 언급하며 “접두사 ‘외-’는 ‘혼자인’의 뜻도 있지만 ‘한쪽으로 치우친’이란 뜻도 있다. 이런 맥락에서 ‘외눈만 쌍커풀이 있다’는 표현에서 외눈은 시각장애인을 지칭한 게 아니며 장애인 비하는 더더욱 아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저는 진실에는 눈감고 기득권과 유착되어 외눈으로 보도하는 언론의 편향성을 지적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추 전 장관과 같은 정치인의 언어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추 전 장관이 표현에 신중했어야 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장 의원은 “극히 일부의 표현이라도 사회 약자들의 삶의 존엄을 훼손한다면, 더욱이 영향력 있는 정치인의 표현이라면 결코 작은 문제가 아니다”고 재차 반박했다.
이 의원도 “외눈이 국어사전에 있음을 근거로 비하 표현이 아니라고 했는데 그러면 ‘절름발이’ ‘난장이’ 등도 국어사전에 있는데 그렇게 표현하는 것은 어떻게 설명해야 하나”라고 지적했다. 이어 “추 전 장관이 놓치고 있는 본질은 비하, 차별, 혐오이냐 아니냐의 판단 기준은 상대방이 어떻게 받아들이냐는 것”이라면서 “차별금지법을 앞장서 주장하셨다는데 정치적 장식용으로만 외치지 말고 내용도 함께 공부하실 것을 권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