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4일 더불어민주당의 당직자가 당대표 회의실 앞에서 쓰러졌다. 이 당직자는 이날 회의를 마치고 나오다 정신을 잃었다.
당내에서는 이 당직자가 쓰러진 이유가 직장내 괴롭힘 때문이라는 말이 나왔다. 평소 상관 A씨와 일하면서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렸다는 증언들이 쏟아진 탓이다. 민주당 윤리심판원은 A씨 비위 행위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고, 당 인사위원회는 최근 A씨에게 감봉 3개월 징계 처분을 내렸다. 감봉은 민주당 당규상 중징계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중징계 중에서는 가장 낮은 수준이다.
29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당 윤리감찰단은 조사 결과 A씨가 부임한 이후 직원들을 괴롭혀 왔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직원들에게 자신의 사적인 심부름을 시켰다는 증언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5개월간 업무추진비와 상여금을 부풀린 뒤 되돌려받는 방식으로 빼돌린 것 아니냐는 의혹도 받았다. 당 관계자는 “내부 규정을 어기고 상여금을 초과 지급한 것은 향후 회계 감사에서 충분히 문제로 지적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윤리감찰단은 A씨 친척이 인턴으로 채용된 경위가 적절하지 못하다는 진술도 확보했다.
이번 사건은 지난달 초부터 당 내부적으로 알려졌지만 당이 진상 파악에 소극적이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결국 일부 인사들이 지난달 18일 실명으로 문서를 작성해 문제 제기를 하면서 공론화됐다.
A씨는 당 인사위에 출석해 제기된 의혹들에 대해 “문제 될 것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한다. A씨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도 “충분히 소명했지만 당에서 수용하지 않았다. 당의 징계 결정에 대해서도 동의하기 어렵다”며 “제가 설명을 하고 입장을 다 말해도 믿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A씨의 징계 수위를 놓고 당 내에선 여러 뒷말이 나오고 있다. 당 내에서는 과거 A씨와 함께 일했던 인사들이 당 지도부에 여러 의견을 전달했고, 결국 당이 A씨에 대한 징계 수위를 낮춘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 실제로 당 지도부의 한 측근 인사는 인사위가 징계 결정을 하기에 앞서 A씨 측과 피해자 측과 연락해 입장 조율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관계자는 “인사위 논의 초반에는 해임 쪽으로 방향이 잡혔는데 회의가 이어지면서 감봉 수준으로 정리된 것으로 안다”고 했다. 이에 대해 당 인사위 관계자는 “인사위에서 논의된 사항은 외부에 이야기를 못 하게 돼 있다. 비밀 준수 의무가 있다”며 “A씨를 중징계 했다는 것 자체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