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15 총선에서 열린민주당 비례대표 후보 4번으로 출마해 낙선했던 김의겸 전 청와대 대변인이 내년 국회에 입성할 전망이다.
김진애 열린민주당 원내대표는 27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년 4월 7일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공직선거법상 국회의원이 자빙자치단체장 선거 후보로 등록하려면 선거일 30일 전까지 의원직을 사퇴해야 한다. 김 원내대표가 열린민주당 서울시장 후보로 확정돼 의원직을 사퇴하면 지난 총선 비례대표 차순위였던 김 전 대변인이 의원직을 승계하게 된다.
김 전 대변인은 2018년 고액의 서울 흑석동 상가건물을 매입하면서 부동산 투기 논란이 제기되자 지난해 3월 청와대 대변인직을 사퇴했다. 4·15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전북 군산에 출마하려 했으나 당의 만류로 포기한 뒤 열린민주당 비례대표 4번에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열린민주당이 비례대표 투표에서 5.42%를 득표, 3석만 확보하는데 그치면서 김 전 대변인은 당선에 실패했었다. 당시 친문 진영에선 비례대표 1번인 김 원내대표가 자진 사퇴해 김 전 대변인을 당선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김 원내대표는 김 전 대변인 복귀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서울시장) 출사표를 던진 사람에게 ‘빨리 비켜라’고 하는 것”이라며 “지금 답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그러나 “모든 절차는 선거법에 따라 진행되는 것”이라며 “제가 열린민주당의 서울시장 후보로 충분한 지지를 얻는다면 여러가지 흥미로운 장면들이 앞으로 전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시계획 박사인 김 원내대표는 18대 국회에서 민주당 비례대표로 당선돼 4대강 사업 저격수로 활동했고, 21대 국회에 비례대표로 재입성했다. 김 원내대표는 “속이 알찬 서울의 진짜 개발을 추진하겠다”며 “부동산 거품에 기름을 붓는 게 아니라 건강한 부동산 생태계를 살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300여개 서울 역세권 미드타운 추진, 재개발·재건축 사업 공익성 제고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