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코로나19 확진자 2명이 머물렀던 베이징의 한 호텔을 코로나19 중(中)위험 지역으로 지정했다. 수도 베이징에서 코로나19 중위험 지역이 지정된 건 산파디 농수산물 시장에서 지역사회 감염이 발생했던 지난 7월 이후 5개월 만이다.
20일 중국 글로벌타임스 등에 따르면 베이징 당국은 지난 18일 차오양구의 798예술구 인근 호텔에 묵었던 중국인 여성 2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자 다음 날 해당 호텔을 코로나19 중위험 지역으로 지정했다.
이들은 지난달 28일 홍콩에서 베이징으로 들어온 뒤 확진 판정을 받았던 한 남성과 같은 호텔에 묵은 밀접접촉자다. 이 남성은 베이징 도착 직후 및 2주 격리 기간 실시된 코로나19 핵산 검사에서 음성 반응이 나왔지만 격리 해제 후 이틀이 지나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에 따라 베이징 당국은 이 남성의 동선을 따라 밀접접촉자를 추적하고 검사를 벌여왔다.
현재 확진자가 나온 호텔과 식당은 영업을 중단했다. 확진자 중 한 명이 방문했던 베이징 창핑구의 한 아파트는 출입이 봉쇄됐다. 베이징 당국은 해외 입국자들에게 14일 격리에 더해 7일간 추가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했다.
베이징 보건당국 관계자는 “중위험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베이징을 벗어나지 말 것을 요청했다”며 “부득이 떠나야 할 경우 코로나19 핵산 검사 음성 결과서를 지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에 중위험 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한국 교민이 대거 거주하는 왕징과 불과 2~3㎞정도 떨어져 있다. 베이징 보건당국은 확진자 동선과 밀접접촉자를 계속 추적하고 있어 추후 왕징 지역에까지 불똥이 튈 가능성이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지금까지 코로나19 고위험군 100만명 이상이 응급 백신을 맞았지만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고 밝혔다. 중국은 지난 7월부터 임상 시험이 완전히 끝나지 않은 응급 백신을 코로나19 대응 의료진, 세관 직원 등 고위험군에 우선 접종토록 했다.
쩡이신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부주임은 19일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중국산 응급 백신 접종이 지난 7월부터 본격화됐다”며 “이미 100만명 이상이 맞았으나 심각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임상 시험 3상 막바지 단계에 있는 중국산 코로나19 백신이 출시되면 각급 단위 병원이나 보건소 등에 충분히 공급할 것”이라며 “우선 접종 대상자가 아니라고 조바심 낼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