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함 뺀 주호영 “문재인, 독재국가 전환시도”

입력 2020-12-10 16:33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0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연합뉴스

제1야당의 정부·여당을 향한 공세가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법 단독 처리에 반발해 연일 분노를 터뜨리고 있다. 공격적인 표현의 수위도 한껏 높아진 상태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0일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문재인과 민주당 정권의 대한민국 헌정파괴와 전체주의 독재국가 전환 시도가 점점 더 극성을 더해가고 있다”고 말했다. 주 원내대표는 문 대통령의 직함을 빼고 ‘문재인’이라고만 호칭했다. 이 발언은 의도적인 것으로 해석됐다. 이날 회의에서 주 원내대표의 첫마디가 ‘문재인’이었던 데다 회의 후 국민의힘에서 배포하는 보도자료에서도 이 부분은 수정되지 않았다.

주 원내대표는 “우리는 역사적 경험에 비추어 ‘칼로써 일어선 자, 칼로써 망한다’라는 금언을 믿고 있다. ‘독재로 흥한 자, 독재로 망한다’라는 것을 믿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집요한 이 집권세력들의 획책으로 이러다 대한민국이 정말 전체주의 독재국가가 되는 것 아닌가 하는 위기감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고 했다.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이 회의에서 “입법부는 국회의 심장과 같은데 지금 국회는 완장 찬 정권 홍위병 세력에 의해 입법권이 무력화되는 등 그야말로 심정지 상태에 빠져있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집권세력이 무소불위 국정 폭주를 할 것 같으면 차라리 국회를 폐쇄하고 계엄령을 선포하라는 격앙된 목소리마저 나오는 엄중한 사태”라고도 했다.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문재인 정권 폭정종식을 위한 정당·시민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의 모습. 연합뉴스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보수 성향 시민단체 등은 이날 오전 ‘문재인 정권 폭정종식을 위한 정당·시민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를 열고 연대 투쟁에 뜻을 모았다. 이들 정당과 단체는 주 원내대표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김문수 전 경기지사 등 7명을 공동대표로 하는 ‘폭정종식 민주쟁취 비상시국연대’를 출범시켰다. 연석회의는 성명을 통해 “문재인정권을 조기 퇴진시키고 국가를 정상화한다는 대의명분 아래 일치단결할 것”이라며 “폭정세력과의 결사항전을 위해 한가로운 지분 싸움과 노선투쟁은 잠시 접어두자”고 했다.

당 일각에서는 국민의힘이 광화문 집회를 주도했던 이른바 태극기 세력까지 아우르는 반문(반문재인)연대에 참여하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강성 보수 이미지만 부각돼 중도층으로부터 외면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김종인 위원장은 비대위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당의 할 일이 따로 있고 외곽 시민단체들은 시민단체 나름대로 그들이 할 일이 따로 있다”며 “범야권 연대, 그런 개념을 갖고 투쟁을 할 수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