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최고인민회의도 1월 개최…“대미외교전 집중 의도”

입력 2020-12-06 16:12

북한이 8차 노동당 대회에 이어 최고인민회의도 내년 1월 하순에 개최하기로 전격 결정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1월 초 당 대회에서 천명한 사안을 최고인민회의로 곧바로 넘겨 입법화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내부 정비·결속을 최대한 신속히 마무리한 뒤 조 바이든 행정부와의 비핵화 협상에 집중한다는 김 위원장의 의중이 반영됐다는 관측도 나온다.

북한이 4일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제14기 제12차 전원회의를 개최했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5일 보도했다. 이날 상임위에서는 내년 1월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4차 회의를 개최하기로 결정됐다. 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5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4차 회의를 내년 1월 하순 평양에서 소집한다”고 밝혔다. 최고인민회의 개최 시점을 평소보다 세 달가량 앞당긴 것이다. 김 위원장이 집권한 이래 북한은 매년 4월 최고인민회의를 열었다. 한국의 국회에 해당하는 최고인민회의는 북한 헌법상 최고 주권 기관으로 법률 개정과 조직 개편 등의 안건을 심의·의결한다.

김 위원장이 조 바이든 행정부와의 비핵화 협상에 앞서 내부 정비·결속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평가다.

정대진 아주대 통일연구소 교수는 6일 “8차 당 대회에서 결정한 사안을 최고인민회의로 최대한 빠르게 넘기겠다는 것”이라며 “미국과의 외교전에 힘을 쏟겠다는 김 위원장의 의중이 담긴 것 같다”고 분석했다. 대북 전문가들 사이에선 8차 당 대회에서 김 위원장이 ‘경제발전 5개년 계획’과 함께 새로운 대남·대미전략을 천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 위원장은 지난 8월 당 전원회의를 열어 8차 당 대회를 내년 1월에 소집하는 안건을 제의한 바 있다.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 교수도 “당 대회 및 최고인민회의가 모두 1월에 열리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새로 들어설 미 행정부의 대북 정책이 수립되기 전 선제적으로 치고 나가겠다는 의도”라고 설명했다. 경제 정책·대외전략 발표에서부터 이를 위한 법제도 마련 작업을 다음 달 중 모두 끝내고 미국과의 ‘핵담판’에 나서기 위한 전략이라는 얘기다. 김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은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과 함께 북·미 비핵화 협상을 대비한 전략 마련에 집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특별대표가 8일 한국을 찾을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은 지난 4일(현지시간)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비건 특별대표가 방한한다고 전했다. 로이터통신은 비건 특별대표가 방한 기간 동안 우리 정부 당국자들을 만다고 별도의 연설도 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이에 따라 비건 특별대표는 카운터파트인 최종건 외교부 1차관과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등을 만나 한·미 현안 및 북핵 문제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외교가 안팎에선 비건 특별대표가 이번 방한에서 북한에 도발 자제와 협상 복귀를 촉구하는 메시지를 내놓을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도 나온다. 우리 외교부 역시 비건 대표에게 이런 요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