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검찰총장 대망론이 확산하자 야당의 셈법도 복잡해지고 있다. 당장 윤 총장이 정치 입문 의사로 해석되는 ‘봉사’ 발언을 했지만 구체적으로 대선 출마 선언인지 국민의힘과 손을 잡겠다는 건지 제삼지대 정치 세력을 만들겠다는 얘기인지는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관료 출신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대선 레이스를 급작스럽게 포기한 전례가 있기에 ‘꽃가마 인사’에 대한 섣부른 러브콜을 자제해야 한다는 지적도 국민의힘 내부에서 제기된다.
국민의힘 한 중진 의원은 “아직 성급한 얘기지만, 윤석열 같은 비정치권 인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폭발하면 기존 야권 세력은 국민적 지지를 받는 리더를 중심으로 재편될 수밖에 없다”고 25일 말했다.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세를 타지 못하는 상태에서 자칫 수권정당으로서의 구심점 역할마저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다. 야권 잠룡군인 홍준표 무소속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에 “잘 모실 테니 정치판으로 오라. 역대 검찰총장 중 이렇게 정치적인 총장은 전무했다. 아마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며 묘한 경쟁의식을 나타내기도 했다.
중도층 표를 윤 총장과 금태섭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정당 밖 인물이 다 가져가게 되면 인물난에 허덕이는 국민의힘은 국민적 관심에서 더 멀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병욱 국민의힘 의원은 최근 페이스북에 “정당 밖 대권 주자의 ‘희망 고문’은 오직 상대 당의 축복일 뿐”이라며 경계심을 나타냈다. 그는 “고건 전 국무총리와 반 전 총장 같은 고위공직자 출신 인사의 대권 도전 실패 사례를 보더라도 정당 밖에 주목받는 대권 주자가 있다는 것은 그 정당에서 뛰는 다른 대권 주자에게 재앙일 확률이 매우 높다”며 “주목받는 장외 주자가 희망 고문만 잔뜩 하고 나랑 정치는 안 맞는다며 슬그머니 ‘컴백홈’ 해버리면 그 피해는 온전히 ‘닭 쫓던 정당’의 몫이 된다”고 지적했다.
야권의 대선 지형을 지각변동시킬 것이라는 기대도 공존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장제원 국민의힘 의원은 페이스북에 “여왕벌이 나타났다”며 “야권 정치 지형 대변화는 시작됐다”고 평가했다. 같은 당 조수진 의원은 윤 총장이 공부를 하나도 안 하고 국감장에 나왔다고 지적한 김남국 민주당 의원의 기사를 페이스북에 공유한 뒤 김 의원을 향해 ‘뒤끝 작렬’이라고 비판하며 윤 총장을 두둔하기도 했다.
한편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반드시 정치를 하겠다는 뜻으로 단정적으로 얘기할 수는 없다”고 반응했다. 23일 당내 전·현직 소장파 의원들이 여의도에 문을 연 정치문화 플랫폼 ‘하우스’를 방문한 자리에서 그는 “윤 총장이 퇴임하고서 봉사활동을 한다는 건 여러 측면에서 생각할 수 있다”며 “정계에 진출할 것이라는 확실한 증거도 없는데 뭐라고 얘기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