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주뉴질랜드 한국대사관에서 발생한 성추행 사건과 관련해 설전을 벌였다.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뉴질랜드 국민과 피해자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지만, 강 장관은 “외교부 장관이 다른 나라에 사과하는 것은 국격의 문제”라며 “이 자리에서 사과 못 한다”며 거절했다.
강 장관은 2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출석해 ‘한-뉴질랜드 정상 통화’에서 성추행 문제가 거론된 것은 ‘국제적 망신’이라는 질타를 받았다. 이에 강 장관은 “통화 의제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뉴질랜드 측으로부터 이 의제를 다룰 것이라는 얘기가 없었다”며 “경위야 어쨌든 대통령이 불편한 위치에 계시게 된 점에 대해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후 이상민 민주당 의원이 “뉴질랜드 국민과 피해자에게 사과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물었다. 이에 강 장관은 “이 자리에서 사과는 못 드린다”고 답했다. 이 의원은 “대통령과 뉴질랜드 총리 간 정상 통화에서 성추행 얘기가 나와 국제적 망신을 당했다”며 “국민에게만 사과할 일은 아닌 것 같다. 뉴질랜드 국민이나 피해자에 대해 사과할 일”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에 강 장관은 “좀 더 사실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며 “정상 차원에서 문제된 것은 외교적으로 이례적인 상황이고, 피해자가 지금까지 한 얘기들이 언론에서 나오고 있는데 다 사실인지 아닌지, 신빙성이 얼마나 있는지도 점검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어 “직원에 대해 외교부 차원에서 식구 감싸기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런 문제는 기본적으로 비공개로 처리해 왔지만 최근 뉴질랜드 언론에 나왔고, 연장선에서 정상 차원에서 문제가 나왔다”고 설명한 강 장관은 “통상적으로 처리하는 상황이 안 됐고, 양국 간 외교적 문제가 됐기 때문에 이 문제를 처리하면서 우리의 국격과 주권을 지키면서 할 필요가 있다. 상대국에 대해 사과하는 부분은 쉽사리 결정할 문제가 아니다”고 덧붙였다.
“국민께 사과하는 것은 분명히 국민을 불편하게 해서 사과하는 것이고, 나라 간의 관계에서 상대국에 사과하는 것은 다른 차원”이라고 한 강 장관은 “의제가 되지 않아야 할 게 의제가 된 데 대해서는 뉴질랜드의 책임이 크다. 외교부 장관이 다른 나라에 대해 사죄하는 것은 정말 다른 차원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도 지지 않고 “대통령이 정상 통화에서 국제적 망신을 당했는데 책임을 져야 하는 거 아닌가”라고 재차 추궁했다. 이에 강 장관은 “책임지겠다. 책임지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외교부 장관이 다른 나라에 사과하는 것은 국격의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반박했다.
앞서 강 장관은 전날 오후 화상 실국장회의에서 “2017년 말 주뉴질랜드 대사관에서 발생한 성비위 사건이 지난 7월 28일 한-뉴질랜드 정상통화 시 제기돼 우리 정부의 외교적 부담으로 작용했을 뿐만 아니라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리게 되어 송구스럽다”고 사과의 뜻을 전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