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인천국제공항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논란에 대해 “입장이 없다”며 거리를 뒀다. 다만 문재인정부의 핵심공약인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 선언이 ‘불공정 채용’ 문제로 비화하는 것을 예의주시하는 모양새다.
청와대 관계자는 24일 통화에서 “일일이 반응하듯이 다룰 문제가 아니다”며 관련 부처에서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민한 이슈에 섣부르게 논평해 일을 키우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다만 청와대 내부적으로는 일자리수석실 중심으로 이 사안을 자세히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기업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그만해 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에 대한 동의가 급격히 증가하는 만큼, 어떤 형식으로든 청와대가 입장을 내놓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인천국제공항의 비정규직 노동자의 정규직 전환은 문 대통령의 핵심 공약이었다. 문 대통령은 2017년 취임 3일째인 5월 12일 인천공항을 방문했다. 문 대통령의 첫 외부행사였다.
문 대통령은 당시 “공공 부분부터 먼저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본다”며 “저는 제 임기 중에 비정규직 문제를 반드시 해결하겠다고 약속을 드렸다. 우선 공공부문부터 임기 내에 비정규직 제로시대를 열겠다”고 했다. 문 대통령이 직접 약속했던 정규직 전환 공약이 의도치 않게 ‘불공정 채용’ 문제로 비화하고 있는 셈이다.
문재인정부 들어 ‘공정 이슈’가 불거질 때마다 정치적 사회적 파장이 컸다. “기회는 평등하게, 과정은 공정하게, 결과는 정의로울 것”이라는 문 대통령의 메시지에 대한 기대가 그만큼 컸기 때문이다. 특히 대입과 취업 관문을 통과해야 하는 20~30대가 예민하게 반응했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당시엔 여자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구성 과정에서 일부 선수들이 경기에 뛰지 못하게 되면서 불공정 선발 논란이 불붙었다. 지난해 불거진 ‘조국 사태’ 당시에도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자녀들의 ‘불공정 스펙’ 논란이 확산하면서 문 대통령 지지율이 크게 휘청거리기도 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