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미래통합당 대표가 15일 기표소에 가림막이 없는 것을 두고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한 것과 관련,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측은 “2014년부터 도입한 시스템”이라고 해명했다. 당시 황 대표는 박근혜정부에서 법무부 장관을 맡고 있었다.
황 대표는 제21대 총선 당일인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혜화동 동성고등학교에 마련된 제3투표소에서 부인 최지영씨와 함께 투표했다. 이후 투표소를 나와 기자들에게 “제 기표가 공개될 수 있는 상황에서 투표하라는 요구를 받았다”며 “심각한 부정선거 의혹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좀 더 검토해보겠지만 공개투표가 이뤄졌다면 명백한 부정선거다. 고의에 의한 것인지, 실수에 의한 것인지 심각한 상황”이라고 했다.
투표소 내 기표대에 가림막이 없고, 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가 기표대 안을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게 황 대표 주장이었다. 신형 기표대는 뒷면 가림막이 없는 대신, 비밀투표를 보장할 수 있도록 측면 방향으로 설치돼 있다. 이에 측면 쪽에 앉아있는 선관위 관계자에게 기표대 안이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가림막 없는 기표대는 박근혜정부 때인 2014년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도입됐다. 황 대표는 법무부 장관으로 재직 중이었다.
당시 중앙선관위는 신형 기표대 도입에 대해 “선거인의 투표비밀은 보장하되 투표소 분위기를 보다 쾌적하게 개선하고, 선거인이 기표소를 이용할 때 가림막을 들어올려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선거인의 ‘인증샷 행위’ 등을 방지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선관위 관계자는 “황 대표가 문제를 제기해서 논란이 되고 있는데 (신형 기표대를) 그동안 여러 선거에서 사용해왔다. 특별히 할 말이 없다”며 “(도입 당시) 여야의 동의도 모두 받았다”고 노컷뉴스에 밝혔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