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처음으로 60㎏ 아래로 내려간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9년 양곡소비량조사 결과’를 보면 ‘2019 양곡 연도’(2018년 11월 1일∼2019년 10월 31일) 가구 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9.2㎏으로 전년보다 3.0%(1.8㎏) 줄었다.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60㎏ 아래로 내려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30년 전인 1989년 소비량(121.4㎏)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가구 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970년 136.4㎏을 정점으로 꾸준히 감소 추세를 이어왔다.
2019 양곡 연도의 가구 내 1인당 하루 쌀 소비량 역시 162.1g으로 전년보다 3.1% 줄었다. 밥 한 공기가 100g 정도임을 고려하면 하루 한 공기 반 정도를 먹는 셈이다.
작년 제조업에서 제품 원료로 쌀을 사용한 양(사업체 쌀 소비량)은 74만4055t으로 전년보다 1.5%(1만2000t) 줄었다.
제조업 쌀 소비량을 업종별로 보면 기타 곡물가공품 제조업이 쌀 5만6007t을 소비해 1년 전보다 24.2% 증가했다. 이 업종에서 쌀은 선식, 누룽지, 시리얼 식품 등에 주로 사용된다.
쌀국수 등에 쓰이는 면류·마카로니 및 유사 식품(2만126t·9.2%), 과자류 및 코코아 제품 제조업(9280t·4.7%) 등도 작년에 쌀 소비량이 늘었다.
떡류는 지난해 쌀 17만6천500t을 소비해 전년보다 2.4% 증가했다.
반면 햇반, 삼각김밥, 도시락이나 가정 간편식에 주로 사용되는 도시락 및 식사용 조리식품은 14만5187t으로 1년 전보다 소폭(-1.6%) 감소했다. 이는 백미만 사용되던 햇반, 도시락 등에 잡곡 사용량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식료품 제조업 가운데 가구 쌀 소비량과 연관되는 기타 곡물가공품, 떡류, 과자류 및 코코아 제품, 면류·마카로니 및 유사 식품, 도시락·식사용 조리식품 등 5개 업종을 별도로 묶어서 보면 전년 대비 3.8% 증가했다”면서 “집에서의 쌀 소비량은 감소했더라도 식사 대용·즉석 식품을 만드는 사업체의 쌀 소비가 늘어났기 때문에, 전체적인 쌀 소비량에 큰 변화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