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 전세기에 ‘유증상자’도 태운다… “기내 전염 가능성 낮아”

입력 2020-01-29 11:35 수정 2020-01-29 11:36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29일 서울 중구 달개비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책 관련 의약 단체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29일 중국 우한시에서 우리 국민들을 데려올 전세기에 유증상자들도 탑승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정부는 기침이나 발열 등의 증상이 있을 시 전세기에 탑승시키지 않을 예정이었으나 방침을 바꿨다.

박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에서 열린 의약단체장 간담회에서 “최신 기종인 전세기는 공기 순환장치로 필터링이 돼 실제로 기내에서 기침 등을 통해 세균이 배출된다 하더라도 옮길 가능성은 아주 낮다”면서 유증상자도 함께 데려오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박 장관은 그러면서도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옆자리와 앞뒤 좌석을 비우고 대각선으로 앉히고 유증상자와 무증상자는 1, 2층으로 구분해 교차 감염이 되지 않게 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방침을 바꾼 이유는 우한 현지 병원이 현재 환자들로 포화 상태가 돼 제대로 된 치료받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했다는 분석이다.

유증상자가 입국되면 공항에서 발열을 점검한 뒤 곧바로 격리해 병원으로 후송할 예정이다. 무증상자는 임시 생활시설에 2주간 격리된다. 이들은 의료진과 함께 생활하면서 증상을 수시로 확인하고, 이상이 나타날 시 바로 병원으로 이송된다.

격리시설은 공무원 교육시설이 거론되고 있지만, 지역 주민의 반발이 예상돼 구체적인 장소를 발표하지는 않은 상태다.

정부는 30일부터 이틀간 전세기를 통해 우한 체류 국민 700명을 국내로 데려올 예정이다. 다만 중국 국적을 가진 가족은 전세기에 탑승할 수 없다.

김영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