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원자력규제위원장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방출이 가장 타당”

입력 2019-12-26 15:35

후케타 도요시(更田豊志)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 위원장이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에서 나오는 오염수 처분 방법으로 해양방출이 가장 타당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26일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후케타 위원장은 25일 기자회견에서 “해양방출과 비교해 대기방출은 시간, 비용 및 폐로작업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더 어려운 선택”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기방출의 해외 사례가 있긴 하지만 일본에선 심사 측면에서 경험이 없다고 했다.

후케타 위원장은 또 대기 방출은 처리 시설을 새롭게 건설해야 하는 데다가 원자력규제위가 심사할 때 내진성 확인 항목이 해양방출의 경우보다 많아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해양방출이나 대기방출이나 기준을 지켜 시행하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생각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후케타 위원장은 해양방출에 대해 어업을 영위하는 후쿠시마 주민들이 ‘풍평피해’(소문 등으로 보는 피해)를 우려하는 것에 대해선 “힘든 결정이지만 판단은 빠를수록 좋다”면서 후쿠시마 제1원전 저장탱크 용량으로 볼 때 결단을 내려야 하는 시기로 접어들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 “해양방출은 기술적으로 어렵지 않아 원자력규제위 심사 기간이 반년도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경제산업성 산하의 오염수처리대책위 전문가 소위가 오염수 처분 방법과 일정 등에 대해 최종 의견을 내면 이를 토대로 기본방침을 정한 뒤 도쿄전력 주주들과 국민 의견을 들을 예정이다. 이후 원자력규제위가 일본 정부가 마련한 최종 처분 방안을 승인하면 도쿄전력이 이행하게 된다.

앞서 전문가 소위는 지난 23일 오염수 처분 방안으로 저장 탱크에 보관된 오염수 방출을 전제로 ①물로 희석해 바다로 내보내는 해양(태평양) 방출 ②고온으로 증발 시켜 대기권으로 내보내는 수증기 방출 ③두 가지를 병행하는 안을 제시했다.

후케타 위원장은 오염수 처분 방법의 승인권을 쥔 기관의 대표다. 따라서 그의 이번 발언은 3개 안 가운데 해양방출 쪽으로 처분 방법이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후쿠시마 원전 부지에는 현재 1000개 가까운 대형 탱크에 110만여t의 오염수(처리수)가 저장돼 있다. 이 오염수는 하루 평균 약 170t씩 증가하는 상황이어서 후쿠시마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향후 20만t의 저장용량을 증설할 계획이다. 하지만 앞으로 30~40년 걸리는 장기간의 폐로 과정에서 작업 공간 확보 등을 위해 전체적인 공간 재배치가 필요한 상황이어서 그 이상의 증설은 어렵다고 밝히고 있다.

도쿄전력 측은 현재 배출 추이로 추산할 경우 2022년 말이 되면 더는 보관할 수 없게 돼 오염수 처분 대책을 서둘러 강구해야 한다며 일본 정부에 처분 방향을 조속히 결정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