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컬리와 SSG.COM에서 판매했던 훈제연어에서 식중독을 일으키는 리스테리아균이 검출됐다. 한국소비자원은 해당 업체에 자발적 회수·폐기 및 판매 중지를 요청했고 업체들은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소비자원은 새벽배송 및 일반배송으로 시중에 유통·판매중인 메추리알 장조림, 훈제연어, 명란젓 등 총 30개 식료품을 대상으로 안전성과 표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균이 검출됐다고 26일 밝혔다.
조사 결과 마켓컬리에서 판매된 ‘연어연구소 참나무 훈제연어’와 SSG.COM에서 판매된 ‘데일리 냉장 훈제연어’에서 리스테리아균이 검출됐다. 마켓컬리 훈제연어 제품에서는 일반세균수도 최대 1.9×106CFU/g 수준이었다. SSG.COM에서는 해당 상품을 더이상 판매하지 않고 있다.
조사대상 30개 제품은 가열하지 않고 바로 섭취하는 제품군이므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 따라 리스테리아균이 검출되면 안된다. 일반세균은 106CFU/g부터 부패가 진행돼 배탈·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소비자원은 해당 업체에 회수·폐기 및 판매중지를 요청했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는 식중독균으로 저온 또는 산소가 거의 없는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냉장·냉동실에서도 증식이 가능하고, 주요 원인 식품은 햄, 소시지, 돼지편육, 훈제연어, 훈제오리, 치즈, 우유, 냉동식품 등이다.
다만 면역 기능이 정상인 건강한 성인은 감영 가능성이 낮다. 임산부·신생아·노인 등 면역력이 취약한 계층은 감염 위험이 높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세균 자체는 체내에서 직접 병을 일으키는 경우가 거의 없지만 식품의 신선도나 부패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위생지표균으로 활용되고 있다. 세균이 지나치게 많으면 배탈과 설사를 일으킬 수 있다.
소비자원이 이번에 조사한 30개 제품은 배송형태(새벽배송 15개, 일반배송 15개)별 위생지표균 평균값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시실태 조사에서는 30개 제품 중 6개 제품(20%)이 ‘식품유형’, ‘원재료명’ 등을 누락하거나 잘못 기재해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부적합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업체에 자발적 회수·폐기 및 판매 중지, 제조공정·유통단계의 위생관리 강화, 표시사항 개선을 권고했다. 관련 업체들은 이를 수용해 조치하기로 했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온라인 판매식품의 위생·안전 및 표시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등을 요청하기로 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