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침대 매트리스에서 시작한 이른바 ‘라돈 사태’ 파문을 계기로 라돈측정기를 대여해 측정 서비스를 진행한 결과, 부산지역 100가구 중 4가구에서 라돈 방사선 기준치 초과 의심 물품이 검출됐다.
부산시는 지난해 6월26일부터 올해 9월 말까지 시민 1만5041명에게 라돈 측정기를 무료로 대여했다고 24일 밝혔다.
라돈측정기로 집안 내 물품을 조사한 결과, 519가구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의심 물품 546건이 나왔다. 측정 가구 수 대비 라돈 방사선 의심 물품 검출률은 3.5%였다.
라돈 방출이 의심되는 라텍스 매트·베개의 10개 중 8개가 해외에서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에서 산 272개 제품 가운데 중국에서 제조한 제품이 116개로 가장 많았고 태국 92개, 필리핀 10개 등으로 조사됐다.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의하면 실내 라돈 권고기준과 신축공동주택 권고기준은 4피코큐리(pCi, 148베크렐Bq/㎥)이다. 시가 대여하는 간이 라돈 측정기기(라돈아이)는 측정값이 4피코큐리 이상이면 경고한다.
시는 기준치를 초과한 의심 물품을 보유한 시민에게는 폐기물 처분하도록 유도하거나 구매처를 통해 환불·교환 조치 방법 등을 안내하고 있다. 또 해외구매 라텍스 전문기관을 방문해 측정하도록 하거나 국내 물품의 정밀측정 신청, 저감조치 방법, 올바른 측정법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라돈 측정 등 관련 정보는 부산시 생활 방사선 안전 상담센터와 동주민센터에서 안내받을 수 있다. 아울러 이번 조사 결과의 세부 내용을 부산시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다양한 생활 주변 방사선 안전관리를 통해 시민들이 공감하고, 안심할 수 있는 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부산시는 지난 5월 전국 광역지자체 중 처음으로 ‘생활 주변 방사선 안전관리 조례’를 제정한 데 이어 생활 주변 방사선 방호 기본계획을 세우고 16개 구·군에 총 385대의 라돈 측정기를 보급해 동주민세터 등에서 무료 대여 서비스를 해왔다. 또 공공 다중이용시설 현장 측정, 대시민 교육·상담·홍보, 통합관리 대응조치 등을 추진하고 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