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61년 만에 처음 눈 없는 12월을 맞고 있다.
제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올겨울 전국적으로 눈이 적은 가운데, 제주의 경우 12월 들어 한 차례도 눈이 내리지 않았다.
최근 20년(1999~2018년)간 제주지방기상청이 조사(청사 내 제주시 관측지점 기준, 산간 제외)한 12월 1~18일 중 눈이 관찰된 날은 평균 6.2일이었다. 그러나 올해의 경우 현재까지 제주지역에 눈 소식이 없는 상태다. 기상청은 연말까지 남은 1주일 동안에도 눈이 내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렇게 되면 제주는 1958년 이후 61년 만에 눈 없는 12월을 맞게 된다.
기상청은 12월 제주지역에 눈 소식이 유난히 적은 것은, 우리나라 주변 기온이 평년보다 높았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처럼 한반도 주변 기온이 예년보다 높게 형성된 것은, 일차적으로 대기 상공(5㎞ 이상)에서 시베리아 북쪽에 강한 바람(한대 제트)이 위치하며 북극의 매우 찬 공기가 중위도로 남하하는 것을 저지한 때문이다. 대기 하층(1.5㎞ 이하)에서는 우리나라 부근으로 강하게 발달한 이동성 고기압이 다시 북쪽의 찬 공기가 남하하는 것을 막았다.
기상청은 25일 눈 없는 크리스마스에 이어, 내달 중순까지도 제주지역에는 눈 소식이 없을 것으로 예보했다.
기상청은 12월 하순~1월 중순까지 제주지역 날씨에 대해 “현재와 비슷한 기압계가 유지되면서 북쪽의 찬 공기가 강하게 남하할 가능성이 작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때문에 “기온과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아, 눈보다는 비 또는 진눈깨비 형태로 내리는 날이 많을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1월 하순에는 점차 북쪽으로부터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기온이 낮아져 눈이 내릴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한편 올해 우리나라는 전체적으로 낮은 적설량을 보이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1~18일 우리나라 주요 13개 도시에 눈이 내린 일수는 0~4일, 비가 내린 일수는 3~9일로 눈보다는 비가 자주 내렸다.
제주=문정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