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安重根) 의사는 1909년 10월 26일 만주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뒤 현장에서 체포돼 중국 뤼순 감옥에 수감됐다. 이듬해인 1910년 단 7일 만에 6차례 공판을 받았으나 재판은 일본인에 의해 형식적으로 진행됐고, 14일 열린 마지막 공판에서 일제의 각본대로 사형이 선고됐다.
안 의사는 불공정한 재판 과정과 옥중에서도 인간 존중과 동양의 평화를 염원했다. 그의 인품과 사상에 감복한 일본인들은 직접 비단과 종이를 구입해 글을 써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서울시는 안중근 의사와 관련된 유물 총 5점을 문화재청에 국가 문화재로 등록‧지정을 신청했다고 11일 밝혔다. 1910년 공판 당시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관련 자료 2점(등록문화재)과 40일 간의 옥중에서 남긴 유묵 3점(보물)이다. 국가문화재 지정‧등록은 소유자(개인 또는 단체)가 자치구를 통해 서울시에 신청하면 서울시 문화재위원회가 문화재 진위 여부와 국가문화재로서 가치가 있는지 등을 조사‧심의한 후 시에서 문화재청으로 지정‧등록을 신청하고 있다. 이후 문화재청에서 1‧2차 심의 후 최종 지정‧등록을 결정한다.
우선, 공판 관련 자료는 당시 재판에 참석한 일본 도요신문사 기자가 스케치한 그림 ‘안봉선풍경 부 만주화부(安奉線風景 附 滿洲畫報)’와 공판 방청권(公判 傍聽券)이다. 공판 스케치는 1910년 2월 10일 열린 제4회 공판 장면을 시간의 흐름대로 총 4쪽에 걸쳐 구체적으로 그렸다. 서울시는 이 2점을 국가 등록문화재로 등록 신청했다. 두 자료는 공판에 참석한 일본 도요신문사의 고마쓰 모토코 기자가 직접 그리고 배부받은 것이다. 이후 고마쓰 모토코의 후손인 고마쓰 료가 지난 2016년 ‘안중근의사숭모회’에 기증했다.
정확한 공판 날짜와 재판 참석자, 재판장 분위기 등이 그림과 함께 기록된 현존 유일본이자 근대 동아시아 국제법 사료의 일면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과거에도 공판 모습이 담긴 사진자료들은 공개된 적이 있지만 정확한 공판 날짜 등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 문화재를 소유하고 있던 일본인 후손이 안중근 의사의 애국정신과 동양 평화사상을 기리기 위해 설립된 국내 단체에 기증했다는 점에서도 한일관계의 융화적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안봉선풍경 부 만주화부는 안 의사가 호송마차를 타고 등장하는 것부터 공판에 출석한 안중근과 동료들(우덕순, 조도선, 유동하)의 뒷모습과 일본인 재판 관계자(마나베 주조 재판장, 미조부치 타카오 검사, 소노키 통역관, 변호사), 영국인 더글라스 변호사 등 주요 인물과 장면을 그림과 설명으로 기록하고 있다. 또 외신기자들의 생생한 표정과 실랑이가 일어난 방청석의 모습 등도 담겨있어 불공정하게 진행됐던 공판 상황을 엿볼 수 있다.
공판 방청권은 관동도독부지방법원 서기과에서 발급된 제122호임이 명기되어 있으며 우측에 ‘사회(四回)’라는 고무인이 찍혀 있어 고마쓰 모토코가 제4회 공판에 참석했음을 알 수 있다. 방청권 뒷면에는 고마쓰 모토코가 직접 기록한 “명치(明治) 43년 2월7일부터 16일까지 관동부 여순지방법원에서 안중근 사건 방청 기념”이라는 문구를 확인할 수 있다.
안중근 의사가 옥중에서 남긴 유묵 3점은 일본인들의 요청으로 묵서됐다는 점에서 역설적 의미가 있다. 재판 과정과 옥중에서 보인 안중근 의사의 언행에 감복한 일본인들이 직접 비단과 종이를 구입해 안중근 의사에게 요청한 것이다. 시는 이 3점을 보물로 지정 신청했다.
‘황금백만냥 불여일교자(黃金百萬兩不如一敎子)’는 ‘황금 백만 량이라도 자식 교육 잘 시키는 것보다 못하다’라는 뜻이다. 삼흥학교, 돈의학교 운영을 통해 교육구국‧계몽운동에 힘쓴 교육가로서 안중근 의사의 철학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지사인인 살신성인(志士仁人殺身成仁)’은 ‘뜻있는 사람과 어진 사람은 자신을 죽여 인(仁)을 이룬다’는 의미다. 나라를 위해 옳은 일을 해 목숨을 버린다는 내용으로, 나라를 위해 한 점 후회도 없음을 당당하게 드러낸 글귀에서 안 의사의 곧은 기개와 결연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세심대(洗心臺 *개인소유)’는 ‘마음을 씻는 곳’이라는 뜻이다. 작품 좌측 하단에는 단지동맹(斷指同盟) 때 약지를 자른 왼손의 장인(掌印)이 선명하게 찍혀있다. 시는 앞서 보물로 지정된 안중근 의사의 유묵에 남아 있는 장인(掌印)과 비교해 세 작품 모두에서 을종말굽형의 지문을 확인해 진본(眞本)임을 재검증했다.
특히 문화재위원회 심의 과정에서 실시한 글씨 조형 분석 결과 31세의 젊은 사형수 안중근의 심리적 동요와 번민이 글씨로서 고스란히 표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시는 전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