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총리 물망에 오른 김진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6일 “저는 개인적으로는 정부가 지금까지 취해왔던 우리 경제의 여러 개혁 조치들의 중심에 항상 있었다”고 말했다.
최근 ‘김진표 총리설’을 둘러싸고 시민사회단체 중심으로 제기되는 ‘반개혁적 인사’라는 지적에 대한 반박으로 해석된다.
국가경제자문회의 의장인 김 의원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자문회의 전체회의를 마친 뒤 브리핑에서 “금융실명제를 실무 책임자로 완수했고 부동산 실명제, 상속·증여세제 강화, 김대중 정부에서 30대 재벌 16개를 정리하는 재벌개혁, 거기에 돈을 준 수많은 금융기관 구조조정, 금융개혁 등을 했던 경험이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또 “이제 우리 경제는 위기 극복 차원의 개혁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G20(주요 20개국)에서 G7(주요 7개국)으로 가기 위해 시장경제가 좀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혁신돼야 하며 그 중심축은 금융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이 지나치게 안정성 위주로 수익률이 떨어지고 있다. 빠른 혁신을 만들어내는 것이 우리 경제를 한 단계 높이 도약시키는 길”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다만 “총리설 언론 보도가 나오는데 그런 대상의 한 사람으로 제 신상 관련 얘기는 가능하면 안 하는 게 좋을 것 같다. 국민들에게 예의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차기 총리에게 어떤 능력과 자질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에도 “이제부터는 총리 관련 질문에는 답을 하지 않는 게 예의인 것 같다”며 “제가 할 수 있는 선을 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총리 후보 지명 시점과 관련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2개 법안 협상이 가시화돼야 총리를 바꾸는 문제를 실질적으로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때까진 복수의 시기에 따라 복수의 후보를 놓고 검토와 고민이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현재 정국, 국회에 여러 패스트트랙 법안이나 예산안을 놓고 불확실성이 굉장히 크지 않으냐”며 “특히 선거법 협상은 ‘4+1’(민주당·바른미래당·정의당·민주평화당+대안신당)의 주장을 받아들이고 수용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