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명품 무기라고 홍보했던 K-11 복합소총 사업이 중단됐다.
방위사업청은 4일 정경두 국방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124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K-11 복합소총 사업을 중단하는 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방사청은 “감사원 감사 결과와 사업추진 과정에서 식별된 품질 및 장병 안전 문제, 국회 시정요구 등을 고려해 사업을 중단하는 것으로 심의·의결했다”고 설명했다.
K-11 복합소총은 5.56㎜ 소총탄과 20㎜ 공중폭발탄 등 두 탄을 동시에 발사할 수 있다. 이 소총은 2008년 국내 연구개발을 거쳐 2010년 군에 보급되기 시작했다. 2014년 11월까지 914정이 납품됐다. 하지만 사격통제장치 균열을 비롯한 결함이 발견돼 납품이 중지됐다. 소총의 격발 센서에 자석을 대면 총탄이 발사된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앞서 감사원은 지난 9월 감사 결과를 발표하며 “명중률 저조, 사격통제장치 균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근본대책을 마련하라”고 방사청에 통보했다. 또 방사청장, 육군참모총장, 국방과학연구소장에게 “앞으로 작전운용성능 등에 미달하는 무기체계를 개발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는 주의 조치를 내렸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장거리지대공유도무기(L-SAM) 체계개발 기본계획안은 의결됐다. L-SAM은 적의 항공기 및 탄도탄 위협으로부터 핵심시설을 방어하기 위한 무기체계다.
이 사업을 주관하는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이달 중으로 L-SAM 체계개발을 위한 계약을 방산업체와 맺을 예정이다. 체계개발에 이어 성능 평가를 거치면 실제 무기를 생산하는 양산 단계에 들어갈 수 있다.
L-SAM은 북한의 탄도미사일을 고도 50∼60㎞에서 요격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L-SAM은 2028년 이후 실전 배치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사업에는 9700억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날 노후화된 호위함과 초계함을 대체하기 위해 추진된 3300t급 신형 호위함 ‘울산급 배치-Ⅲ’ 건조를 위한 체계개발기본계획안도 의결됐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