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세계적 수준의 유니콘(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의 비상장 스타트업) 핀테크(FIN-Tech·금융기술)가 출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한 ‘혁신성장 전략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활용해 내년 3월까지 혁신금융서비스를 100건 이상 창출하겠다”며 “핀테크 기업에 특화한 임시 허가제도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고객 자금 없이 금융기관에 지급을 지시하는 ‘마이 페이먼트(My Payment, 지급 지시 전달업)’을 도입하겠다”며 “3000억원 규모의 핀테크 전용 혁신 투자펀드도 조성할 계획”이라고 제시했다.
홍 부총리는 국회에 계류 중인 ‘데이터 3법(정보통신망법·개인정보보호법·신용정보법)’ 개정안 통과에 대비해 “금융·바이오헬스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 개인정보보호 관련 업무 일원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공공기관의 중소기업 규제 애로 개선과 관련해 기재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공동으로 공항 임대료 이자율 인하, 청년 스타트업 임대료 인하 등 49건의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정부가 추진하는 혁신성장 틀을 재정리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혁신성장은 아직 구체적 성과를 창출하거나 국민들께 체감적으로 다가가기에는 많은 부분 미흡했다”며 “‘4+1’의 전략적 틀(프레임)을 재정립하고 일관성 있게 강력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4+1 전략 틀이란 기존산업 혁신 및 생산성 향상, 신산업·신시장 신규 창출, 혁신기술 확보 및 연구개발(R&D) 혁신, 혁신인재·혁신금융 등 혁신자원 고도화, 제도·인프라를 말한다.
홍 부총리는 “정보통신기술(ICT)과 첨단 핵심기술 등이 융·복합되도록 해 생산성과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이도록 정책 노력을 끊임없이 지속하겠다”며 “창업생태계의 전(全) 주기적 활성화 노력을 하겠다”고 했다.
이어 “혁신인재를 20만명 육성하고 대규모 모험자본 확충 등 혁신금융을 활성화하겠다”며 “규제 샌드박스 본격화, 혁신 공공조달 강화 등 혁신성장을 법·제도·규제적으로 뒷받침하는 공통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는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박영선 중기부 장관, 은성수 금융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