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에 청년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부산해상케이블카 등 대형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또 부산의 전통산업 고도화로 청년 일자리 창출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27일 부산청년정책연구원이 해운대구 KNN타워에서 진행한 청년 정책 토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비롯해 일자리 미스매치를 해결할 방안이 논의됐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오창호 영산대 교수는 부산은 국내 대표 관광도시이자 국제회의 개최지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기업이 영세해 일자리가 늘어나는 선순환구조로 만들려면 중장기적으로 대형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싱가포르의 마리나베이샌즈 호텔과 같은 대형 건축 공사를 부산항 북항 등에 건설을 추진하는 등 부산시가 의지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유정민 부산경총 고용창출팀장은 수리조선업, 자동차, 관광 등 전통산업 고도화로 청년 일자리 창출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면서 대형선박 대상 수리조선업과 전기차 부품산업, 융합형 관광산업 등에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태훈 민주당 부산시당 정책국장은 부산항 북항에 스마트공장을 추진하고 공항문제 등도 풀어야 할 숙제이며 공공기관 추가 이전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이나윤 부산시청년위원회 청년부위원장은 청년이 부산에서 토포필리아(장소에 대한 사랑)를 형성하고 지속 가능한 삶을 기대할 수 있다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면서 일자리를 찾는 전반의 과정과 청년의 삶을 함께 탐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이영봉 정의당 전 부산시당 청년위원장, 김형철 자유한국당 부산시당 청년위원장 등이 토론회에 참가해 실효성 있는 청년 정책 개발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제안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