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정부, 유가인상 항의 시위 ‘폭동’ 규정… “1000명 체포”

입력 2019-11-18 00:58
6일 휘발유 가격 인상에 항의해 테헤란 이맘 알리 자동차전용도로를 점거한 시민들. 연합뉴스

이란 정부가 휘발유 가격 인상에 항의해 수도 테헤란을 비롯해 이란 곳곳에서 벌어진 시위를 ‘폭동’으로 규정하고 대대적인 참여자 검거에 나섰다.

이란 정보부는 17일(현지시간) 낸 성명에서 “여러 도시에서 15~16일 사회 불안을 일으킨 자들의 신원을 모두 확인했다”며 “이란 사회의 안전을 책임지는 부서로서 이들에 대해 적절히 조처하고 결과를 곧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정보부는 15∼16일 이틀간 전국에서 은행 100곳과 상점 57곳이 시위대의 방화로 소실됐다고 집계했다. 인명피해는 아직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또 항의 시위에 참여한 시민을 ‘문제 유발자’라고 칭하고 이들의 수가 8만7400명이지만 이들 중 대부분이 시위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지는 않고 구경하는 수준이었다고 분류했다. 이란 경찰은 이들 가운데 폭력 행위나 시위를 선동한 혐의로 1000명을 체포했다.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는 이날 오전 연설에서 “국민은 정부에 요구사항을 말할 수 있지만, 관공서와 은행에 불을 지르고 폭력을 행사하는 것은 폭도들이 불안을 조성하려는 행위이다”라며 시위를 폭동으로 규정했다.

이란 정부는 지난 15일 휘발유 가격을 50% 인상하고 한 달 구매 상한량을 60ℓ로 정했다. 60ℓ를 넘기면 200% 인상된 가격에 휘발유를 사야 한다. 이에 15일 밤부터 16일까지 이란 주요 도시에서 시민들의 항의 시위가 벌어졌다. 이란 당국은 시위가 추가로 확산하지 않도록 16일 밤부터 인터넷을 전면 차단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