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산케이신문은 외무성이 한국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 문제제기에 대응하기 위해 타 부처와 정보를 공유하는 등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12일 보도했다.
앞서 한국 해양수산부는 지난달 10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문제 국제 공론화’ 자료를 내고, 영국 런던에서 열린 런던협약·의정서 당사국총회에 이 문제를 공론화 했다고 밝혔다. 다음날인 10월 11일에는 필리핀에서 열린 세계보건기구(WHO) 회의에서 같은 문제를 제기했다.
산케이는 이를 전하며 “어떤 회의도 원자력과 직접 연관이 없었고 주관은 국토교통성과 후생노동성이었다”며 “하지만 외무성은 한국 측의 주장을 상정해 정보를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즉각 연계해 반박했다”고 전했다. 산케이는 친(親) 아베 성향의 극우 신문으로 일본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산케이는 한국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 문제에 대한 국제 공론화를 “2020년 일본 도쿄 올림픽을 앞둔 일본의 이미지를 깎아내리기 위한 것”이라며 “허위 사실이나 오도를 유도하는 정보도 눈에 띤다”고 주장했다.
산케이는 한국 측이 ‘오염수’라고 부르는 물은 오염물질을 제거한 ‘처리수’이니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후쿠시마 제1원전 탱크에 보관된 것은 원자로 내에서 녹은 연료에 닿은 방사능 오염수를 알프스(ALPS·다핵종제거설비)에서 정화한 ‘처리수’다”라며 “해양 방출의 경우도 미처리 오염수를 흘려보내는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여전히 안전 우려는 사라졌다고 보기 힘들다. 특히 오염수에 들어있는 ‘삼중수소’(트리튬)를 완전히 걸러내는 기술은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는 일본 내에서도 인정하고 있다. 산케이는 “방사성 물질 삼중수소(트리튬)를 포함하는 처리수는 (일본) 정부 소위원회에서 처리 방법을 검토 중으로 결론은 나지 않았다”라고 했지만 삼중수소를 완전히 걸러낸 처리수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산케이는 또 일본 외무성과 경제산업성이 연계에 지난 9월 도쿄에 위치한 각국 대사관에 관련 문제를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지만, 한국은 국제회의에서 해양 방출을 전제로 ‘후쿠시마 오염수’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와 관련 외무성의 한 간부는 “원자로 주변의 물을 그대로 방출하는 것 같은 인상을 심으려 하고 있다”라고 분개했다고 산케이는 전했다. 그러면서 한국 정부가 이달 하순 중국에서 개최될 예정인 한·중·일 원자력안전 고위규제자회의(TRM)에서도 ‘오염수의 해양 방출 문제’를 제기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