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제불능 이라크 반정부 시위…319명 사망, 1만5000명 부상

입력 2019-11-11 13:45
이라크 군경의 최루탄 발포에 도망치는 시민들. 연합뉴스

지난달부터 시작된 이라크 반정부 시위가 한달 넘게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가운데 10일(현지시간)에도 수도 바그다드에서 군경의 강경 진압으로 시위를 벌이던 시민 6명이 숨지고 수십 명이 다쳤다.

알자지라 방송은 이날 이라크 의회 산하 인권위원회를 인용해 반정부 시위가 시작한 지난달 1일부터 이날까지 사망자가 319명으로 늘었고 1만5000여명이 부상했다고 보도했다.

아델 압둘-마흐디 이라크 총리는 “정치권의 실책을 통감한다. 앞으로 며칠 안으로 선거제 개혁 등 민의가 요구하는 변화를 발표하겠다”고 약속하고 시위 해산을 호소했으나 거리에서는 시위대와 군경의 유혈사태가 멈추지 않았다.


이라크 군경은 9일 바그다드 시내를 관통하는 티그리스강의 주요 다리에서 연좌 시위하던 시민들에게 실탄과 최루탄, 고무탄을 발포해 7명이 숨졌다. 지난 4일에도 이라크 보안군은 바그다드 시내 교량 세 군데를 봉쇄하고 있던 시위대를 과격 진압해 시위대 6명이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

군경은 정부 청사와 외교 공관이 있는 티그리스강 서쪽 그린존으로 시위대가 근접하지 못하도록 다리에 바리케이드를 쌓았다. 10일에는 시위의 중심지인 타흐리르 광장으로 가는 주요 도로와 다리를 봉쇄했다.

압둘 카림 칼리프 이라크군 대변인은 10일 “시위 현장에서 총을 쏜 사람들은 군인이나 경찰이 아니다. 그들은 민간인이거나 무장조직원인 것 같은데 그 침투자들은 군경에게도 총격을 가한다”고 시위대를 비난했다.

국제앰네스티는 9일 낸 성명에서 “이라크 정부는 집회, 표현의 자유뿐 아니라 시민의 생존권을 보호해야 하는 의무를 져야 한다”라며 “유혈사태가 멈추도록 군경에 불법행위를 중단하도록 명령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엔 이라크 지원단(UNAM)은 10일 발표한 성명서에서 이라크 시위 해결을 담은 긴급제안을 내놓았다. 이 성명서에는 해결을 위한 단기 및 장기적 방안과 선거제도 개혁, 반부패 정책 등의 방안이 포함됐다. 단기 대책으로는 지난달 1일 이후 체포된 모든 평화시위 가담자들에 대한 즉각 석방과 실종자 납치 사건에 대한 수사, 강경 진압 책임자의 처벌 및 기소 등이 있다.

한편 이라크에서 한 달 넘게 이어지는 반정부 시위는 만성적인 실업난과 공공 서비스의 부족, 정부의 부패를 규탄하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터넷을 통해 자발적으로 조직됐다. 압둘-마흐디 총리 내각의 퇴진을 요구하던 시위는 정부의 개혁 정책 발표로 잠시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가 바그다드와 이라크 남부를 중심으로 재개됐다.

한편 압둘-마흐디 총리는 시위대의 퇴진 요구에 대해 의회 내 정파가 합의해 후임자를 결정하면 사임하겠다는 입장이다.

김영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