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자율형사립고학부모연합회와 서울자율형사립고교장연합회가 7일 오후 서울 중구 이화여고 백주년기념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부의 자사고 일괄 폐지 정책 발표에 대해 “낡은 시대로의 귀환”이라고 비판했다.
서울자사고교장연합회 회장인 김경철 대광고 교장은 “2025년도 자사고 일괄 폐지는 공정성을 가장한 획일적 평등의 퇴행적 교육 질환을 앓게 하는 낡은 시대로의 회귀”라며 “자사고 일괄 폐지 정책이 국면전환용, 책임 회피용 정책임을 자인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무책임한 정책 결정으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과 학부모에게 돌아가게 되며 이로 인한 혼란과 갈등은 더욱 가중될 것”이라며 “오히려 현재 자사고는 정해진 틀 안에서 모든 구성원들이 최선을 다하여 국가, 사회, 대학이 원하는 인재, 즉 실력과 인성을 고루 갖춘 공동체의 미래를 위해 헌신할 인재를 키워내고 있다는 점에서 대한민국 고교 공교육의 모범이라고 자부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장은 또 “자사고가 설립 이념, 건학 이념대로 충실하게 사학의 자주성과 자율성을 유지하면서 건전하게 교육 성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지원 정책으로 전환하는 것이 국가적으로 이익이며 마땅히 국가가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이날 낮 정부서울청사에서 ‘고교서열화 해소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외국어고(외고), 국제고, 자율형사립고(자사고) 등 3개 고등학교 유형을 완전히 없애기로 했다”며 “현재 초등학교 4학년이 고등학교에 들어가는 2025년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한편 영재학교와 특수목적고 가운데 과학고, 예술고, 체육고는 2025년 이후에도 일반고로 전환되지 않고 유지된다.
자사고와 외국어고가 일반고로 전환되는 2025년 이후에는 서울 대원외고 등 기존 외고는 학교 명칭을 그대로 쓰면서 특성화된 외국어 교육과정을 그대로 운영할 수 있다. 하지만 학생 선발 권한이 없어지고 다른 서울 시내 학교처럼 학생 선택에 따라 지원해 배정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자사고, 외고, 국제고의 학비는 일반고와 마찬가지로 무상교육으로 바뀐다.
김지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