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차기 회장 선임 본격 궤도 올랐다…후보 ‘30+7’로 압축

입력 2019-11-06 16:28

KT가 차기 회장을 선발하기 위한 후보자 공모를 마감함으로써 선임 작업이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 그룹사 43개, 직원 수 6만 1619명에 달하며 국내 ICT 산업 최정점에 있는 KT의 차기 회장 선임 문제는 업계의 가장 큰 관심사다. 총수 없는 기업으로서 그동안 회장 선임 시기만 되면 외압 논란을 겪어온 KT가 선임 절차를 바꾼 이후의 첫 인선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

KT 지배구조위원회는 지난달 23일부터 2주간 실시한 외부 공모 및 전문기관 추천을 통해 총 30명의 후보자를 추렸다고 6일 밝혔다. 21명의 후보자가 접수했고, 전문기관을 통해 9명의 후보자를 추천받았다. 지배구조위원회는 앞서 실시한 사내 후보자 1차 평가에서 후보 7명을 구성해 총 37명에 대한 심사를 진행, ‘회장후보심사위원회’에 최종 구성된 후보 명단을 올릴 계획이다. KT는 후보자 명예 보호와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명단을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회장후보심사위원회는 아직 구성되지 않은 상태다. 사외이사 8인 전원과 사내이사 1인이 구성원으로, 정관에 따라 회장의 임기만료 최소 3개월 전까지만 구성하면 된다. 이 때문에 지배구조위원회가 후보 명단을 완성하는 이달 말쯤 구성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후 최종 후보에 대한 의결은 이사회가 하며, 내년 3월 주주총회를 통해 새로운 KT 회장이 선임되는 절차다. 주주총회가 단독으로 추천된 회장 후보자 1인에 대한 의결만 담당한다는 점에 비춰볼 때, 사실상 회장 선발은 이사회에서 이르면 연내 마무리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이번 차기 회장 선임은 연임에 성공한 회장이 임기를 마치고 물러나는 첫 사례이자, 외압에서 벗어나기 위해 선임 절차를 변경한 이후 첫 인선 등의 의미를 가진다. KT가 회장 후보 선임 과정에서 후보 지원자 규모를 공개한 것도 처음이고, 사내 후보 평가 과정을 공개한 것도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이는 그동안 KT가 회장 선임을 둘러싸고 외풍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았던 만큼 ‘깜깜이 추천’, ‘낙하산 논란’ 등을 불식시키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에도 정권 특성에 맞춰 노무현정부 시절 장관을 지낸 인물들이 공모에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들 역시 KT가 마련한 심사 과정을 거쳐야 해 험로가 예상된다.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사들은 후보를 추천하지 않기로 의결했다.

하마평에는 KT 내부인사와 전임 KT 임원 출신 등을 포함해 10여명이 거론된다. 사내 후보 중에서는 구현모 커스터머&미디어부문장(사장)과 오성목 네트워크부문장(사장), 이동면 미디어플랫폼 부문장(사장)과 박윤영 기업사업부문장(부사장)이 꼽힌다. 외부 후보로는 KT 사장을 역임한 최두환 전 포스코ICT 사장, KT사업본부장(전무)을 지낸 홍원표 삼성SDS 사장, KT IT기획실장을 지낸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 임헌문 전 KT매스총괄 사장, 이상훈 전 ETRI 원장(전 KT 기업고객부문장) 등이 물망에 오른다. 참여정부 시절 고위관료 출신인 노준형·유영환 전 정보통신부 장관, 정동채 전 문화관광부 장관 등도 공모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다.

사내 후보와 사외 후보 가운데 어느 쪽이 낙점될 것인지 관심이 쏠린다. KT 내부에서 발탁된 회장은 2009년 남중수 사장이 마지막이지만 이번에는 어느 때보다 내부 인사가 선임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코드 인사’라는 의혹에서 벗어날 수 있고, KT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그동안 추진해온 KT의 전략을 이어나갈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우려가 제기되는 외압 논란을 차단하고, 황창규 후계자 논란도 불식시켜야 한다는 점이 이번 회장 선임 절차의 최대 과제”라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