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30일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사법재판소(ICJ)나 제3국 중재위원회를 통해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한·일 간 입장이 좁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ICJ나 제3국 중재위를 통해서 조정하는 게 유일한 방법이 아니냐’는 정진석 자유한국당 의원 질의에 “그런 옵션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할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강 장관은 “일단 외교 당국간 협의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은 (양국이) 협의를 통해서 풀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강 장관은 정 의원이 ‘일본 측의 제3국 중재위나 ICJ 제소를 거부한 이유가 무엇이냐’고 묻자 “거부한 게 아니라 응답하지 않은 것”이라면서 “여러 선례를 검토하면서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우리 측은 강제징용 배상 판결 문제를 놓고 ICJ 제소나 한·일 청구권 협정에 명시된 중재위 설치 등을 통한 해결보다는 양자 간 외교경로를 통한 협의를 강조했다. 이날 강 장관의 발언으로 한·일 갈등의 근본적 문제로 꼽히는 강제징용 배상 판결 문제 해결을 위한 돌파구가 본격 마련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지난 24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만났을 때 전한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엔 한·일 정상회담 제안이 담긴 것으로 확인됐다.
강 장관은 “문 대통령이 아베 총리에게 전한 친서에서 정상 간 대화는 늘 열려 있다는 입장과 어려운 현안이 극복돼 한일 정상이 만날 수 있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피력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