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총선을 앞두고 영입하는 인재 명단에 박찬주 전 육군대장과 이진숙 전 MBC 기자가 포함된 것을 두고 ‘부적절한 인사’라는 비판이 나온다. 박 전 대장은 공관병 갑질 논란의 당사자고, 이 전 기자는 지난 보수 정권 시절 MBC 편파 보도와 관련해 내부 구성원들로부터 ‘부역자’라는 비판을 받은 인물이다.
한국당은 31일 박 전 대장과 이 전 기자를 포함한 9명의 영입 인재 명단을 발표할 예정이다. 황교안 대표 취임 후 당 차원의 첫 인재 영입이다. 김성원 전 두산중공업 플랜트 EPC 비즈니스그룹장, 백경훈 청년이여는미래 대표, 안병길 전 부산일보 사장, 윤주경 전 독립기념관장,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도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당은 영입 인재 발표와 함께 3선 의원을 단장으로 하는 총선기획단을 출범시켜 본격적인 총선 체제에 들어간다.
하지만 ‘갑질 대장’ ‘부역 언론인’ 꼬리표가 붙은 인사들 영입으로 인적 쇄신의 의미가 퇴색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박 전 대장은 2013~2017년 공관병에게 전자 호출 팔찌를 채우고 텃밭 관리를 시키는 등 ‘갑질’을 했다는 혐의로 지난해 검찰에 고발됐다. 검찰은 박 전 대장의 지시가 가혹행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며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 다만 박 전 대장의 부인은 공관병 폭행·감금 혐의가 인정돼 불구속 기소됐다. 이와는 별개로 박 전 대장은 뇌물수수·부정청탁 금지법 위반 혐의로도 재판을 받고 있다. 지난 4월 항소심에서 뇌물 혐의는 무죄를 선고받았고, 대법원의 최종 판단만 남아 있다.
이 전 기자는 2012년 MBC 홍보국장으로 재직하면서 당시 김재철 사장의 퇴진을 요구하는 노조에 맞서 사측 입장을 대변해 ‘김재철의 입’으로 불렸다. 이 전 기자가 보도본부장으로 있을 때 MBC는 세월호 전원 구조 오보, 유가족 폄훼 보도를 내 안팎으로 질타를 받기도 했다. 이 전 기자는 최승호 사장 취임 직후인 지난해 1월 대전MBC 사장 자리에서 스스로 물러났다.
한국당 지도부는 박 전 대장과 이 전 기자가 문재인정부 적폐청산 피해자로서 상징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당은 반색하는 모습이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CBS 라디오에 출연해 “보통 선거를 앞두고는 국민적으로 관심을 받는 분들이 주로 오는데 박 전 대장은 악명을 떨친 쪽에 가깝다”며 “민주당으로서는 고맙다”고 말했다.
심우삼 김용현 기자 s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