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11월 국제회의서 韓日정상회담 안 해” 지소미아도 그대로 종료되나

입력 2019-10-30 11:31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6월 일본 오사카 국제컨벤션센터 인텍스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공식환영식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악수하고 행사장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11월에 문재인 대통령과 한·일 정상회담을 하지 않는 방침을 확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11월은 양국 정상이 모두 참가하는 국제회의가 두 차례 있고,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종료도 예정돼있어 한·일 갈등 타개를 위한 정상회담이 이뤄질지 주목받았다. 이런 가운데 미 하원 의원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한·일 갈등 중재를 촉구하는 서한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30일 아베 총리가 11월 예정된 국제회의에서 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지 않기로 확정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판결’을 한국 정부가 어떻게 대응할지 당분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다음달 3일부터 태국 방콕에서 열리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회의, 16일부터 칠레에 산티아고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 두 차례 같은 국제회의에 참석한다.

요미우리는 한·일 정상이 이들 국제회의를 계기로 접촉하게 되더라도 짧은 시간 서서 이야기를 나누는 정도에 머물 것이라고 전망했다. 따라서 오는 12월 말 중국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담을 기회로 한·일 정상회담이 개최될지 주목된다.

앞서 이낙연 국무총리는 지난 24일 아베 총리와의 회담에서 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고 한·일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을 전달했다. 이 때문에 11월 아베 총리와 문 대통령 간의 회담이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었다.

11월 22일에는 지소미아 종료도 예정돼 있다. 한·일 정상이 만나 갈등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을 경우 예정대로 종료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민주당 하원의원들이 내달 태국에서 열리는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 회의’(ADMM-Plus)를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일 갈등 중재를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30일 보도했다.

브래드 셔먼 하원 외교위원회 아시아태평양소위원장 등 민주당 소속 의원 14명은 지난 24일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에서 “미국의 동맹국이 포함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고위급 지도력이 필요하고 편을 들지 않고 두 동맹국이 서로의 의견 차이를 해소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미·일의 지속적인 협력은 남부 캘리포니아 지역사회와 미국 국가 안보에 가장 중요한 사안”이라며 ADMM-Plus 기간 예정된 한·미·일 국방장관 회담을 계기로 “미국이 한국과 일본을 이을 다리를 재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