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땅값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세종시… 시·군·구 1위는 용인시 처인구

입력 2019-10-24 13:39
세종시 아파트 모델하우스. 뉴시스

올해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시·도 중에서는 세종시, 시·군·구 중에서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가 24일 발표한 ‘2019년 3분기 전국 지가(땅값) 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통계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3분기까지 전국 땅값은 평균 2.88% 상승했다. 작년 3분기 누계(3.33%)와 비교해 상승률이 0.45%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2019년 3분기 누적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 거래량. 국토 교통부 제공

17개 시도별 2019년 3분기 누적 지가 변동률. 국토교통부 제공

지역별로 보면,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16곳에서 땅값이 올랐다. 세종(3.96%)이 상승률 1위를 차지했고, 이어 서울(3.78%), 광주(3.63%), 대구(3.39%), 경기(3.15%) 순으로 상승 폭이 컸다.

반면 제주(-0.44%)는 유일하게 작년보다 땅값이 떨어졌다. 울산(0.40%), 경남(0.49%) 등도 전국 평균 상승률을 밑돌았다.

주요 시군구 2019년 3분기 누적 지가 변동률. 국토교통부 제공

시·군·구 기초자치단체 단위에서는 경기 용인 처인구가 5.17%로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2월 SK하이닉스 반도체 클러스터 지정과 용인 테크노밸리 인근 투자 수요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3기 신도시 인접 지역이면서 지하철 3호선 연장 추진 소식이 전해진 경기 하남시(4.84%)와 도심 주택재개발(만촌동 등)이 진행 중인 대구 수성구(4.74%), 지식정보타운 사업과 3기 신도시 지정 등의 영향을 받은 과천시(4.44%)의 상승률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울산 동구(-1.41%)는 현대중공업 물적 분할에 따른 인구 유출 우려 등으로 땅값이 전국에서 가장 많이 떨어졌다. 경남 창원 성산구(-1.38%)·의창구(-1.37%)·진해구(-0.98%)와 경남 거제시(-0.97%)의 땅값도 배후산업 침체 영향으로 떨어졌다.

김지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