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로 격납 건물에서 200개 정도의 공극(구멍)이 발견된 한빛원전 3·4호기에 부실 공사 의혹에 제기된 가운데 시공사인 현대건설은 “법적으로 계약적인 의무를 다했다”는 입장을 내놨다.
송진섭 현대건설 전무는 21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원자력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1995년 1996년에 두 원전을 준공했고, 그 뒤 5년의 하자보수 기간을 거쳤다”고 말했다.
그는 또 공극 문제와 관련, “공극이 발생한 원인 분석이 정확히 안 돼 협의체를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엄재식 원자력안전위원장 역시 “이번 공극의 원인, 문제점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돼 협의체를 구성해 확인해가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올해 7월 한빛 4호기 격납건물에서 깊이가 157㎝ 정도인 초대형 공극이 발견됐다. 또 한빛 4호기에서 97개, 한빛 3호기에서 94개의 공극이 발견돼 두 원전에 대한 부실공사 의혹이 제기됐다.
원안위는 지난 17일 현대건설과 ‘한빛원전 3·4호기 격납건물 공극 현안 관련 협의체’ 구성에 합의했다. 협의체에서는 한빛 3·4호기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 시공자인 현대건설, 설계사인 한국전력기술, 원안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한국콘크리트학회 관계자 등이 참여한다.
현대건설 측의 해명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위원장은 “157㎝의 구멍이 생겼고 200개 이상의 공극이 발생했으면 시공이 잘못된 것”이라면서 “30년간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위협해 놓고 이런 발언을 한 것은 무책임하다”고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은 공극이 발생한 정확한 원인 규명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원전이 재가동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환경운동연합 안재훈 대안사회국 국장은 이날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공극 말고 또 다른 문제가 원전에 있을지도 모른다”며 “그동안 문제를 제대로 발견하지 못한 단체들이 다시 모여 조사를 한다는 것에도 신뢰가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영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