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국정 지지율 40% 선이 붕괴됐다. 문 대통령 취임 뒤 최저치로,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퇴로 현 정부 기존 지지층의 실망감이 표출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갤럽은 지난 15~17일 전국 성인 1004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한 결과, 문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가 지난주보다 4% 포인트 하락한 39%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부정 평가는 2% 포인트 오른 53%였고 8%는 의견을 유보했다.
문 대통령의 2017년 5월 대선 당시 득표율은 41.1%로, 정치·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지지율 40%선 붕괴를 정권의 1차 위기 신호로 본다.
문 대통령은 4.27 남북정상회담·판문점 선언 직후인 2018년 5월 첫째 주 직무 긍정평가 83%로 역대 대통령 취임 1년 시점 긍정 평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지난해 6월 지방선거 이후 경제·일자리·민생 문제 지적이 늘면서 긍정 평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지난해 9월 초 처음으로 긍정·부정평가 차이가 10%포인트 이내로 줄었고, 9월 중순 평양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직무 긍정 평가 60%선을 회복했지만 이후 다시 하락해 12월부터 올해 9월 추석 직전까지 긍정·부정평가 모두 40%대인 상태가 지속됐다.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자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390명, 자유 응답) ‘검찰 개혁’(15%), ‘전반적으로 잘한다’, ‘외교 잘함’(이상 11%), ‘개혁·적폐 청산과 개혁 의지’(8%), ‘최선을 다함·열심히 한다’(7%), ‘주관·소신 있다’, ‘복지 확대’, ‘북한과의 관계 개선’(이상 4%), ‘기본에 충실·원칙대로 함·공정함’, ‘소통 잘한다’(이상 3%), ‘경제 정책’, ‘전 정권보다 낫다’, ‘서민 위한 노력’, ‘공약 실천’(이상 2%)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는 부정 평가 이유로(531명, 자유응답)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25%), ‘인사(人事) 문제’(17%),‘독단적·일방적·편파적’(13%), ‘전반적으로 부족하다’(8%), ‘국론 분열·갈등’(7%), ‘소통 미흡’, ‘북한 관계 치중·친북 성향’(이상 5%), ‘외교 문제’(3%), ‘서민 어려움·빈부 격차 확대’(2%) 등을 지적했다.
대통령 직무 부정 평가 이유에서는 한 달여 만에 인사 문제 응답이 줄고, 다시 경제·민생이 1순위에 올랐는데 이에 대해 한국갤럽은 “지난 14일 조국 장관 사퇴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대통령 직무 긍정률 하락 폭은 30대(60%→46%), 중도층(46%→36%), 광주·전라(76%→67%) 등에서 상대적으로 컸다. 한국갤럽은 “조국 장관 주도의 검찰 개혁을 기대했거나 관망했던 이들에게 사퇴 소식이 적지 않은 허탈감을 안긴 듯하다”고 설명했다.
정당 지지율을 보면 민주당 36%, 한국당 27%,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 23%, 바른미래당 7%, 정의당 6%, 민주평화당과 우리공화당 각각 1% 순이다. 지난주와 비교하면 민주당과 정의당이 각각 1% 포인트 하락했고, 바른미래당은 2% 포인트 상승했으며 한국당은 변함없었다.
조국 장관 사퇴에 대한 생각을 물은 결과 64%가 ‘잘된 일’, 26%는 ‘잘못된 일’이라고 봤으며 10%는 의견을 유보했다.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별로 조국 장관 사퇴를 ‘잘된 일’로 보는 시각이 우세했지만 민주당 지지층, 대통령 직무 긍정 평가자 등에서는 ‘잘못된 일’이라는 응답이 50%를 웃돌았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한국갤럽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