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임기 내로 앞당긴 지뢰 3000여발 제거작전

입력 2019-10-16 15:41
지난해 10월 강원도 철원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진행된 지뢰제거 작전 현장. 철원=사진공동취재단

군 당국의 후방 지역 지뢰제거 완료 시점이 문재인 대통령 임기 안으로 3년 앞당겨졌다. 당초 2024년 말까지 지뢰 3000여발을 제거할 계획이었으나 투입 인력과 장비를 대폭 확대해 제거 시점을 2021년으로 당긴 것이다.

국방부는 16일 “국민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기존 2024년까지 완료를 목표로 추진 중이었던 후방지역 방공기지 주변 지뢰제거를 투입 인력과 장비를 대폭 확대해 2021년 10월까지 조기에 완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기존 6개팀 200여명을 투입하던 인력을 31개팀 1200여명으로 확대키로 했다. 또 플라스틱 대인지뢰(M14)도 탐지할 수 있는 비금속지뢰탐지기와 암반 지형에서도 운용할 수 있는 특수굴삭기를 쓰기로 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지뢰제거 작전수행 중 장병들 안전을 최대한 고려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산사태 등 추가 피해가 없도록 자연재해 예방에도 힘쓸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인력과 장비를 늘린 지뢰제거 작업은 내년 2월 말이나 3월 초에 시작될 예정이다. 군 관계자는 “지뢰제거 작업에 필요한 인원을 선발해 교육하는 과정뿐 아니라 장비를 확보하는 시간도 필요하다”며 “또 땅이 얼어붙어 지뢰제거 작업을 할 수 없는 겨울 날씨를 감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뢰 탐지·제거 작업이 실시되는 지역의 면적은 약 50만㎡이다. 이는 아직 지뢰제거 작업이 진행되지 않은 8만㎡ 지역에다 유실 가능성이 있는 곳까지 합친 것이다. 국방부는 태풍과 홍수, 산사태, 지형 변화로 지뢰가 다른 곳으로 유실됐을 가능성을 감안해 지뢰탐색 범위를 넓히기로 했다.

육군의 한 장병이 대대전술훈련 중 적 기동을 저지하기 위해 대인지뢰를 매설하고 있는 모습. 육군 제공

앞서 군은 1960년부터 1980년대까지 방공기지 방호를 위해 37개 기지 주변에 ‘발목지뢰’로 불리는 대인지뢰 5만3000여발을 매설했다. 1998년부터 등산이나 나물 채취 등을 하는 민간인들을 보호하기 위해 지뢰제거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2007년까지 지뢰 5만여발을 제거했으나 3000여발은 아직 제거하지 못했다. 국방부는 제거하지 못한 지뢰를 완전히 없애기 위해 2012년부터 지뢰제거 계획을 세워 시행 중이다.

문 대통령 임기가 끝나는 2022년 5월 안에 끝내기 위해 지뢰제거 작업을 서두르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지역 민원을 빨리 해소하기 위해 병력과 장비를 대거 투입하는 계획을 세웠다는 지적도 뒤따른다. 하지만 국방부 관계자는 “특정 시점을 염두에 둔 게 아니라 국민안전 문제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해 지뢰제거 시기를 당긴 것”이라며 “작업 병력도 군 작전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투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