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12~16개월 된 아기가 공간적으로 위에 서있는 사람을 ‘나이가 많거나 지위가 높은 사람’으로 인식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일본 교토 대학과 규슈 대학 연구팀은 이런 연구결과를 영국 왕립학회 회보에 발표했다고 아사히신문이 11일 전했다.
윗사람, 아랫사람이라는 개념은 보통 말을 배우는 과정에서 인식하는 것으로 간주됐다. 하지만 해당 연구는 조기 발달과정에서 판단 능력을 갖는 것으로 봤다.
연구팀은 시상대에서 위, 아래에 서있던 인물들이 물건 쟁탈전을 벌이는 동영상을 제작했다. 위에 있던 사람이 이기는 동영상과 아래 있던 인물이 이기는 동영상을 동시에 준비했다. 이후 생후 12~16개월 된 남녀 아기 18명에게 두 영상을 번갈아 보여주고 시선을 추적했다.
조사 결과 아기들은 위에 있던 인물이 이기는 동영상을 평균 10초 정도 보고 눈을 뗐다. 아래 있던 사람이 이기는 동영상의 경우 16초 후에 시선을 옮겼다.
연구팀은 화면을 오래 주시한 이유를 위에 있던 사람이 이길 것이라는 예상이나 기대가 어긋났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모리구치 교수는 “말을 통해서가 아니라 부모 곁에서 보고 배웠거나 혹은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건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