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여당 지도부가 조국 법무부 장관 지지와 검찰개혁을 요구하는 촛불집회를 2016년 탄핵 정국 당시의 촛불집회와 연결해 의미를 부각시키려는 것으로 읽힌다.
이 대표는 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장소만 서초동일 뿐 2016년 박 전 대통령을 탄핵한 촛불집회를 연상시키는 규모와 시민의식이 아닐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규모도 놀랍지만, 폭력이 전혀 없고 쓰레기도 자진 수거를 하고 남다른 시민의식을 보여줬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서울은 물론 지역에서 검찰개혁을 요구하는 시민이 자발적으로 촛불을 들기 시작했다. 외국에서도 자발적으로 참여한다는 얘기가 있다”며 “검찰 개혁을 향한 국민의 자발적 열망이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당 검찰개혁특위가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검찰의 직접 수사 축소, 피의사실 공표 제한, 옴부즈맨 등 검찰권의 민주적 통제와 흔들림 없는 인권 보호 방안을 추진하겠다”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계류 중인 수사권 조정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등 사법개혁 법안 역시 조속한 통과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인영 원내대표는 “완벽한 촛불 시민혁명의 부활이었다”며 “국민 명령을 받들어 신속하고 강력한 검찰개혁을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내대표는 “전날(6일) 당 검찰개혁특위에서 1차 방안을 발표했고, 오늘도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우리 당 방침을 밝힐 예정”이라며 “검찰개혁 방안을 확정하는 대로 법무부와 당정 협의를 열어 즉시 검찰개혁에 착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 “(서초동 집회에서) 시민들은 주권자 이름으로 단호히 검찰개혁을 명령했다”며 “며칠 전 자유한국당의 광화문 집회와 극명한 대비를 이뤘는데 동원이 없었고, 욕설, 폭력, 쓰레기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국당이 지금 할 일은 ‘관제 집회’, ‘계엄령’ 등 막말을 일삼는 것이 아니라 검찰개혁을 집행하는 일”이라며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시한 종료 전에 신속히 사법개혁 법안 심사에 임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또 “(한국당은) 국회선진화법 관련 검찰 수사에도 당당히 협조하길 바란다. 의원 자녀 입시 전수조사 실현을 위한 특별법을 이달 안에 통과시키자는 우리 당 제안에 응답하라”고 요구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