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경제’ 활성화되면 ‘금융 문턱’ 낮아진다

입력 2019-09-22 15:45 수정 2019-09-22 17:00

데이터 경제가 활발해질수록 ‘금융 접급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금융 거래가 없는 사회 초년생이나 저소득층의 경우 금융회사 문턱이 낮아질 수 있다는 얘기다. 데이터 경제란 개인의 동의 아래 제3자가 상품 설계에 다양한 개인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22일 민간 싱크탱크인 유럽정책연구센터(CEPS)가 최근 발표한 ‘신용시장에서의 데이터 공유’ 보고서에 따르면 데이터경제가 활발해질수록 저소득층의 금융 접근성이 나아지고, 시장 안정성에도 기여했다. 연구에는 유럽 신용평가사협회(ACCIS)에 속한 유럽 주요 23개국의 33개 신용평가사(CRA)가 참여했다.

연구진은 CRA가 보유한 각종 개인 데이터를 이용해 계량화된 연구를 진행했다. CRA가 개인의 금융 이력 뿐만 아니라 개인의 비금융 데이터(웹 검색 이력, 휴대폰 결제 이력, 공과금 납부 이력 등)도 신용 평가에 이용하는지를 조사해 지수화했다. 지수 범위는 ‘0’부터 ‘1’인데, 지수 값이 ‘1’에 가까워질수록 데이터가 완전히 공유되는 경제를 말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2017년 말 기준으로 지수가 0.1만큼 늘자 소득 하위 40% 인구의 33.7%가 신용 대출이 가능해졌다. 기존(32.2%)보다 1.5%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소득 상위 60% 역시 기존(43.2%) 대비 1.3% 포인트 늘어난 44.5%가 신용 대출이 가능해졌다. 연구진 측은 “지수가 0.1만 늘어도 금용 거래 이력이 없는 ‘씬파일러(thin-filer)’나 저소득층 약 250만명이 추가로 신용 구제를 받는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경제는 시장 안정성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지수가 0.1 늘자, 금융사의 고정이하여신(연체기간 3개월 이상) 비율은 기존 8.2%에서 0.8% 포인트 감소한 7.4%로 나타났다. 금융사의 재무 건전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대출 업무 효율이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다만 연구진은 금융 환경이 비교적 통일돼 있는 유럽 국가만 표본으로 삼은 ‘제한된 연구 결과’라는 점을 언급했다. 이어 “개인의 비금융 데이터가 이용될 때 발생하는 사생활 침해나 해킹 등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각 국 정책 입안자들의 면밀한 검토가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은 은성수 신임 금융위원장이 ‘마이데이터’ 사업을 강조하고 있지만, 여전히 데이터 경제의 ‘불모지’다. 마이데이터 사업 첫 삽을 뜨기 위해 통과돼야 할 ‘데이터 3법’은 10개월째 국회에 계류 중이다.

최지웅 기자 wo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