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철 “쌀 5만톤 대북지원 사업, 잠정 중단”

입력 2019-09-16 10:31 수정 2019-09-16 10:53
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16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현안보고를 하고 있다. 왼쪽은 강경화 외교부 장관. 연합뉴스

정부가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 북한에 국내 쌀 5만톤을 지원하려던 사업 추진을 잠정 중단했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16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WFP를 통한 식량지원은 북측의 공식 입장이 확인되지 않아 준비 절차를 잠정 중단했다”며 “향후 북측 입장을 확인한 후 필요한 조치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보고했다. 주무 부처 장관이 대북 식량지원 보류를 공개적으로 밝힌 것이다.

앞서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지난 2일 정례브리핑에서 “WFP와 북측의 협의, 수송선박 확보, 쌀 지원에 필요한 절차를 이행하는 소요기간 등을 감안하면 당초 목표였던 9월 말 종료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통일부 측은 지난달 20일까지만 해도 “9월까지 식량지원을 마칠 수 있느냐 없느냐를 판단하기에는 이르다”며 가능성을 열어뒀지만, 2일 브리핑 때 목표 달성이 어렵다고 밝힌 데 이어 이날 현안보고에서는 추진 중단을 인정했다.

정부는 지난 6월 “북한의 식량 상황을 고려해 WFP와 긴밀히 협의한 결과, 우선 국내산 쌀 5만톤을 북한에 지원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으며, 이후 WFP가 북한과 협의를 통해 7월 말 식량을 실은 첫 배를 출항시켜 9월에는 운송을 완료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북한은 7월 말 WFP 평양사무소와의 실무 협의 과정에서 한·미 연합훈련을 이유로 남측이 지원하는 쌀 수령에 부정적 의사를 밝혔다. WFP는 북측에 문서 등으로 공식적 입장을 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북한은 여전히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통일부는 다만 WFP 및 유니세프의 대북 인도지원(모자보건·영양지원)에 800만 달러를 지원하는 사업은 ‘안정적으로 진행 중’이며, 그 외 다양한 국제기구와의 협력사업 확대를 검토 중이라고 국회에 보고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