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재판 넘긴 ‘조국 부인’ 소환 임박…PC 반출 도운 증권사 직원 조사 중

입력 2019-09-07 15:04
정 교수 상대로 서울대 인턴 경력·논문 저자 의혹도 확인할 듯

검찰이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부인 정경심 동양대 교수를 전격 기소한 데 이어 조만간 정 교수를 불러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와 여당이 ‘정치검찰’ 프레임을 내세워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검찰로서도 최대한 신속히 수사를 진행해야 할 상황이다.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7일 새벽 국회에서 인사청문회를 마친 뒤 의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고형곤)는 지난 6일 오후 10시50분쯤 정 교수를 사문서위조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2012년 9월 7일 자신의 딸(28)을 위해 최성해 동양대 총장 직인이 찍힌 표창장을 가짜로 만든 혐의를 받고 있다.

공소장은 사문서위조 혐의 공소시효(7년) 만료를 1시간여 앞두고 서울중앙지법에 접수됐다. 국회에서 조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진행 중일 때였다. 검찰은 “공소시효 외에 (정 교수를 기소한) 다른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정치적 고려 없이 혐의가 입증됐다고 판단해 공소시효 만료 이전 절차대로 처리했을 뿐이라는 설명이다.

앞서 검찰은 압수물 분석과 최 총장 등 참고인 조사를 통해 정 교수 진술이 없더라도 그 딸의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 입시에 활용된 표창장이 위조됐다고 결론 내기에 충분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 총장도 검찰 조사에더 “해당 표창장은 내가 내 준 것이 아니다. 위임한 적도 없다”는 진술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석열 검찰총장이 지난 5일 점심 식사를 위해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구내식당으로 향하면서 취재진쪽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정 교수의 진술을 듣지 않은 상태에서 먼저 재판에 넘긴 검찰은 곧 정 교수를 출석시켜 진술을 받는 절차를 밟을 것으로 전망된다. 결과에 따라 사문조위조 외에 혐의가 더 추가될 가능성도 있다.

정 교수를 상대로 서울대 법대 산하 공익인권법센터 인턴 경력 부풀리기 의혹, 의학논문 제1저자 등재 의혹 등에 대한 사실관계 확인 작업도 필요한 상황이다. 검찰은 앞서 지난 3일 후보자 딸을 논문 제1저자로 올려준 장영표 단국대 교수의 아들 장모(28)씨를 불러 조사했다.

장씨도 조 후보자 딸과 함께 고교 3학년이던 2009년 5월 공익인권법센터에서 인턴 활동을 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그는 검찰 조사에서 인턴 경력이 부풀려졌다는 의혹 일부를 시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정 교수가 검찰 압수수색 전 한국투자증권 직원을 대동하고 동양대 자신의 연구실 PC을 들고나갔다가 제출한 것과 관련한 증거인멸 의혹 부분에 대한 수사도 속도를 높이고 있다. 검찰은 7일 정 교수의 PC 반출을 도운 한국투자증권 프라이빗뱅커(PB) 김모씨를 불러 조사 중이다. 김씨는 증거인멸 혐의 피의자 신분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정 교수는 “PC 자료를 삭제하거나 훼손한 행위는 없었다. 개인적으로 PC를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었을 뿐, 수사기관의 압수수색 등은 전혀 예상할 수 없었다”는 입장을 냈다. 조 후보자도 인사청문회에서 “제 처가 동양대 연구실에 출근할 수 있는 조건이 아니라서 PC를 가져온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또 조 후보자 가족이 투자한 사모펀드 관련 의혹 규명도 과제로 안고 있다. 사모펀드 운용사 코링크프라이빗에쿼티(PE) 이상훈 대표도 5~6일 검찰에 출석해 조사를 받았다. 이 대표는 수사 착수 직전 해외로 나갔다가 최근 귀국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