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전쟁 다시 확전… USTR “3000억 달러 중국 제품에 15% 관세”

입력 2019-08-29 17:31 수정 2019-08-29 17:36

잠시 소강 상태였던 미·중 무역전쟁이 다시 확전할 조짐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예고했던 대로 다음 달부터 대중(對中) 추가관세 조치를 강행하겠다고 밝혔다. 미·중 양국이 서로 관세 폭탄을 주고받으며 갈등을 키워가는 양상이 재연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다음 달 중에 열릴 것으로 예상됐던 미·중 고위급 무역 협상에도 악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미 무역대표부(USTR)는 28일(현지시간) 관보를 통해 다음 달 1일부터 3000억 달러 어치 중국산 수입품 중 일부 품목에 15%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지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기존에 예고했던 세율은 10%였으나 5%포인트 상향된 세율이다. 이어 12월 15일부터는 휴대전화와 노트북 등 전자기기에도 역시 15% 관세가 부과된다.

관세 부과 대상 품목이 무엇인지는 구체적으로 공개되지는 않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9월 1일부터는 1070억 달러, 12월 15일부터는 1560억 달러 어치 품목에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휴대전화와 노트북의 교역 규모만 약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트위터에 3000억 달러 어치 중국산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그러자 중국은 미국의 주요 수출품인 원유와 대두 등 750억 달러 규모의 제품에 5~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대응 조치를 내놨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다시 3000억 달러 어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10%에서 15%로 높이겠다고 맞불을 놨다. USTR의 이번 관보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의 당시 발언을 재확인한 것이다.

중국은 추가 관세 부과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가오펑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29일 주례 브리핑에서 “중국의 반격 수단은 충분하다”면서도 “중국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를 취소함으로써 무역전쟁 격화를 막는 문제를 우선 논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대로 관세 부과 조치를 시행할 경우 미국 IT업체인 애플이 상당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관세 부과 품목에 휴대전화와 노트북, 블루투스 이어폰 등 애플의 주력 상품이 대거 추가되기 때문이다. 애플은 생산 시설을 대부분 중국에 두고 있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을 그대로 떠안아야 한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관세를 물지 않는 삼성전자와의 경쟁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호소하기도 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