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갖고 있지만 아무도 말하지 않는, 숙제 같은 ‘가족’의 문제를 풀기 위해 어른들 대신 직접 나선 동네 삼총사의 빛나는 용기와 찬란한 여정을 담은 작품으로 입소문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영화 <우리집>이 개봉 이후, 가족 관객들의 관람과 함께 ‘가족들의 필람 무비’로 손꼽히고, 각종 초중학교, 학부모 단체들의 관람으로 뜨거운 지지를 이어가고 있다.
<우리집>은 부모님의 불화가 고민인 12살 ‘하나’와 여의치 않은 사정으로 자주 이사를 하는 게 고민인 10살, 7살 ‘유미’, ‘유진’ 자매가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사실감 있게 담아내며 극찬을 모으고 있다. 특히, 보통의 가정들이 문제가 생기면 어른들이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하고 아이들을 배제하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집>의 아이들은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로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이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하는 것. 뿐만 아니라 아이들 앞에서 싸우는 부모의 모습, 식구라는 의미가 무색할 정도로 함께 저녁 한 끼 먹지 못하는 가족, 아이들은 모를 것으로 생각하고 때로는 거짓말을 하는 영화 속 부모의 모습은 관객들에게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보게 한다. 또한, 이러한 모습을 통해 우리가 잊고 있던 아이들의 세계와 우리가 몰랐던 아이들의 고민을 일깨워주는 작품으로 깊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영화를 본 관객들은 “다시 한번 새겨보는 '가족', 그 두 글자 단어의 의미”(네이버 boo****), “아이들 앞에서 제발 싸우지 마세요. 그 기억 평생 남아요”(네이버 cubi****), “어른들의 무책임하고 이기적인 행동들이 아이들을 얼마나 불안하게 하는지 잘 보여주었습니다.”(네이버 asil****), “이사를 많이 다니면서 적응에 힘들어했던 어린 내가 떠올라서 해변에서 나도 같이 울었다.”(네이버 usso*****), “마냥 어려 보여도 다 생각하고 느끼는 아이들”(네이버 skfk****) 등 아이들의 세상을 담아냈지만, 어른들이 더 공감하고 봐야 하는 작품으로 <우리집>을 극찬하고 있다. 이러한 반응과 함께 각계각층 학부모 단체와 전국의 초등학교에서 개봉 첫 주부터 단체 관람이 이어지는 등 릴레이 단체 관람 또한 이어지고 있어 <우리집>은 초등학교 4학년 국어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아이들에게 깊은 울림을 전한 전작 <우리들>만큼이나 교육적인 메시지로도 큰 반응을 이끌어낼 것으로 보인다.
진짜 가족의 의미와 부모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하게끔 하는 작품으로 관객들의 입소문을 이끌어내고 있는 전 세대 가족 영화 <우리집>은 현재 전국 극장에서 만날 수 있다.
박봉규 sona71@kmib.co.kr 사진=롯데시네마 아르떼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