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지소미아 종료는 한미동맹과 무관, 우리 이득 최우선에 둔 결정”

입력 2019-08-27 18:06
청와대

청와대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선언을 두고 나오는 한미동맹 균열 우려에 “지소미아 종료는 한미동맹과 무관한 한일관계에서 검토됐던 사안으로, 한미 간 공조와 연합방위태세는 굳건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반박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27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각국은 각자 나라의 입장에 따라 어떤 사안을 결정하고 판단한다”며 “지소미아 종료 결정은 주권 국가인 대한민국이 대한민국 국민과 우리의 이득을 최우선에 두고 내린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지소미아 종료 선언이 이뤄진 후 미국에서 불만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자 ‘그렇지 않다’고 청와대가 반박한 것이다.

특히 25일(현지시간) 모건 오테이거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이 자신의 트위터에 “한국 정부가 지소미아를 종료한 것에 대해 깊이 실망하고 우려한다. 한국 방어를 더욱 복잡하게 하고 미군 병력에 대한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글을 올린 것에는 따로 답변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국무부 대변인이 공식 논평이 아닌 트위터로 글을 올린 것으로 안다. 거기에 청와대가 무게감 있게 말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답했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이날 고위 당정청 회의에서 “일본이 부당한 조치를 원상회복하면 지소미아 종료를 재검토할 수 있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서는 “일본에 변화되는 것들이 있다면 그때 가서 지소미아를 재검토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원론적인 수준의 답변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프랑스에서 열린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에게 ‘한국의 태도는 심하다. 현명하지 않다’며 한국 정부를 비판했다고 보도한 일본 산케이신문에는 “그런 확인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지 않겠다”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산케이의 그런 보도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라며 “확인되지 않은, 확인할 수도 없는 보도들이 있었다는 것을 언론인들이 잘 알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오히려 트럼프 대통령은 지소미아와 관련된 질문을 받고 ‘문 대통령은 좋은 친구’라는 식의 발언을 한 것으로 기억한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일(현지시간) G7 정상회의 참석차 백악관을 떠나기 직전 ‘지소미아 종료 결정을 우려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보자” “문 대통령은 나의 아주 좋은 친구”라고 답한 바 있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