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방부, 中 의존도 높은 드론·희토류 자체 조달 추진

입력 2019-08-27 16:48

미 국방부가 소형 드론과 희토류를 자체 조달하는 방안을 찾아 나섰다. 미국은 드론과 희토류를 80% 이상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미·중 경쟁이 본격화된 상황에서 이들 물자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지 않을 경우 안보에도 악영향이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엘렌 로드 미 국방부 획득운영군수 차관은 26일(현지시간) 중국산 드론을 대체하기 위해 미국 내 드론 생산업체에 투자할 방침이라고 CNN이 보도했다. 이 사업은 국방부가 믿을 수 있다고 판단되는 미국 내 민간자본과 협력해 전략물자를 조달하는 ‘신뢰자본시장(TCM)’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미군은 정찰과 기지 경비 등에 소형 드론을 이용하고 있다. 미국에는 마땅한 소형 드론 생산업체가 없어 대부분 중국산에 의존해왔다. 하지만 중국산 무인기가 수집한 민감 정보가 중국 정부나 해커에게 유출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미국 정부와 의회를 중심으로 제기됐다.

로드 차관은 세계 최대의 드론 생산업체인 중국의 ‘DJI’를 거론하며 “이들이 대량의 저가 드론을 쏟아내는 탓에 미국은 소형 드론을 생산할 산업 기반을 갖고 있지 않다”며 “미국은 안보와 무역 양쪽에서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로드 차관은 그러면서 “우리는 중국산 드론을 통해 상당히 많은 정보가 중국으로 흘러간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며 “이런 제품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미 국방부는 중국의 희토류 독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체 조달처를 함께 모색할 방침이라고 미국의소리(VOA)가 보도했다. 희토류는 휴대전화와 반도체는 물론 항공기 엔진과 인공위성, 레이더 등 군사 분야에서도 쓰인다. 중국은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81%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 역시 80% 가까이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은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되면서 희토류 공급 통제를 대미 보복 카드로 사용할 수도 있음을 암시해왔다.

미 국방부는 자국 및 동맹국의 희토류 수요를 맞추기 위해 호주와 협력 하에 희토류 처리시설을 짓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도 대규모 희토류 광산을 보유하고 있지만 처리시설과 가공기술이 중국보다 떨어져 자체 생산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드 차관은 “적국이 희토류 공급을 통제할 경우 공급망이 취약해질 수 있어 우려스럽다”며 “가장 큰 문제는 희토류를 처리할 시설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